김진애의 도시 이야기 - 12가지 '도시적' 콘셉트 김진애의 도시 3부작 1
김진애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학적으로의 도시가 아닌, 인문학적인 측면에서 '도시'에 대한 관심이 점차 늘어나는 것이  피부로 느껴진다. 그것이 티비 프로그램으로 인한 것인지, 혹은 건축학자들이 음지에서 양지로 많이 나온 이유에서인지 모르겠지만 반가운 변화가 아닐 수 없다.대학시절 사무관시험(그러니깐 소위 '행시') 을 준비하던 친구에게 왜 시험을 치고 싶냐고 물어본 적이 있었는데, '도시 디자인'을 해보고 싶다고 했다. 그 때 당시에는 도시를 어떻게 디자인 할 수 있는 것인지 의문이 가득했다. 도시는 그냥 자연 발생적으로 생기고, 사라지고, 변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에 의해 그들이 세운 계획에 의해 도시는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할 수 있으며 정책에 따라 긍정적인 변화를 충분히 경험할 수 있음을 배웠다.

 

김진애는 이미 우리들에게 많이 알려진 도시학자인 유현준교수와 비견할만한 전문가이다. 그래서 이 책을 보고, 유교수의 전작과는 어떤 다른 매력이 있을지 궁금해서 책을 꺼내들게 되었다.

 

관련 분야 전문가가 아니고서야 '도시'를 공부하려고 마음 먹은 사람은 별로 없다. 도시 여행이나 부동산 투자 등 뚜렷한 목적을 갖고 특정한 도시를 살펴볼 순 있어도, 도시 자체를 공부하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내 삶과 크게 상관있는 것처럼 느껴지지도 않으니 더욱 엄두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책은 도시 또한 얼마든지 이야기로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은 물론, 도시 문제가 우리 삶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도시를 이해함으로써 우리 삶이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 여실히 깨닫게 해준다. 무엇보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나의 동네, 나의 도시를 긍정하게 되는 안목을 키우고, 나의 미래를 도시의 미래와 연관 지어 생각하게 할 정도로 시야를 넓게 트이게 해준다. 그래서 나의 '삶의 터전'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었으며, 그것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