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안에서 사계절 1318 문고 129
김혜정 지음 / 사계절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닫힌 학교에서 만난 그들 그리고 나와 너의 이야기

학교 안에서-를 읽고

 

평범하게 학교 관련 정책을 소개하는 영상에 답글이 도착하면서 사건은 시작된다.

학교를 지키는 학교지킴이홍보 영상에 달린 답글은 놀랍게도 학교에 대한 테러 경고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모두 행사에 참여해 아무도 남아 있지 않았어야 할 학교에 우연히(?) 남게 된 한 명의 교사와 7명의 학생은 이 사건의 피해자가 되어 학교에 갇히게 된다. 학교 밖 사람들의 뜨겁지만 짧았던 관심이 지나가버린 뒤에도 이런저런 온갖 사정으로 인해 사건은 해결되지 않고, 학교 밖에서는 이들이 학교에 갇혀 있다는 것조차 점점 잊어 간다.

그리고 학생들이 없는 학교에서는 끊임없이 종소리가 들린다. 하지만 평소에는 종소리에 따라 움직였을 교사와 학생들은 움직이지 않고, 학교 옥상에 앉아 텅 빈 학교를 바라본다. 학교종은 아무 힘이 없고 학생들은 매점에, 교실에, 복도에 흩어져 긴 밤을 보내게 된다. 협박글을 계속되고 비가 내리고 체육관은 폭발했다. 그리고 하나씩 밝혀지는 8명의 이야기. 그들의 이야기 속에서 학교 안에 갇힌(?) 8명은 테러의 가장 유력한 용의자가 되고 책을 읽는 당신은 범인을 찾는 여행을 떠나게 된다.

하지만 책장을 넘기며 범인을 추리할수록 나는 너무도 익숙한 누군가를 만나게 되었다. 드라마에서, 영화에서, 뉴스에서, 신문기사에서 혹은 떠도는 소문들에서 아니면 내가 교사로서 근무했던 그 세월 속에서 언젠가 듣거나 만났던 이야기 속의 주인공같이 느껴지는 것에 당혹스러웠다. 아마 책을 읽는 여러분 중 누군가는 함께 학교를 다니던 친구를 떠올리거나 학교를 다니면서 외면했던, 친구여야 했던 아이가 생각나거나 자신이 겪었던 오래 전의 일이 떠오르는 순간, 가슴이 쿵 하고 내려앉게 되는 경험을 하지 않을까?

 

코로나로 인해 학생들이 학교에 가지 않고, 텅 비어있는 교실과 닫힌 교문을 보며 작가는 독자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학교란 무엇인가? 왜 사람들은 학교에 다녀야 하는가?’

그리고 학교에서 아이들을 기다리며 온라인 수업을 하고 있던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궁금해졌다. ‘학교에 오지 않던 아이들이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학생이 없는 학교는, 우리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평범한 학생으로서 학교를 다니고, 교사로서 다시 학교로 돌아왔지만 자신이 꿈꾸었던 교사의 삶은 아직 살지 못하는, 기간제 교사인 등장인물의 혼잣말이 그 대답이 될 수 었을까?’

 

나는 교실 안에 아이들이 다닥다닥 모여 있는 게 답답했어. 가끔은 끔찍할 때도 있었고, 좁은 공간에 전혀 다른 아이들을 모아 놓고 다 친해지라니. 말도 안 되잖아. 그런데, 가끔은 그 공간이 고마울 때가 있어. 사회 나와 보니 별별 이상한 사람들이 다 있더라고. 학교 다닐 때 만났던 이상한 애들이랑 비슷해. 학교에서 이미 겪었기에 받아들이는 게 조금 나았을 지도 몰라.

 

그리고 명쾌하게 대답할 수 없어서 가장 마음이 아픈, 그만큼 대답하고 싶었던 질문이 가장 마음에 남는다.

학생을 지키지 못하는 학교를 과연 학교라고 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