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 교회에서 길을 찾다 - 바울에게서 듣는 가정교회 이야기
안희열 지음 / 두란노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세기 가정교회 신자들은
생활이 곧 신앙이었다.
이들은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한 이후
삶으로 그리스도인의 모습을 증명시켰다."
.
.
이 책은 1세기 교회들이 어떻게
시작을 하고, 또 성장을 했으며
박해, 전염병등 여러가지 환난의 조건 속에서도
오히려 성장하고 더 뿌리를 내릴 수 있게
되었는지 그 당시의 문화와 생활환경들을
예를 들며 각 교회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
그리고 각 장이 끝날 때마다 다함께 생각하고
토론 할 수 있는 2가지 질문들을 제시해주며
1세기 교회들을 통해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생각해보게 했다.
.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교회의 성장이 나이키형으로 성장해간다는 것이었다.
성장을 이루다가 갑자기 감소하는 것 같지만
다시 방향을 바꾸어 고속성장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보며 신기했었다.
.
또한 로마제국시대에도 지금의 우리나라처럼 심각한
전염병이 돌던 때가 있었는데 이것을 계기로 로마제국은
멸망했지만 오히려 교회는 더 굳건하게 세워졌다는 사실을
보며 이 책에서 저자가 계속해서 강조했던 "교회는 건물이 아닌 사람을 세우는 것이다"라는 말을 뒷받침 해주었다.
.
그리고 1세기 교회들은 지금의 교회들처럼 건물에 속해있는
교회가 아닌 가정에서 출발했으며 가정이 교회가 되기
위해 누군가의 지속적인 섬김과 헌신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그저 감탄할 수 밖에 없었다.
.
또한 이러한 가정교회들이 지역교회가 될만큼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각자에게 주신 달란트와 은사를 발휘하였기
때문이고 무엇보다 이들은 복음의 본질이 무엇이었는지
알고 있었기에 본질적인 것에는 열심을,
비본질적인 것에는 양보를 했기때문에
1세기 교회들이 성장할 뿐 아니라 이방인들에게까지
복음이 전파되는 선교가 활발히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
이 책을 읽으면서 교회는 본질적인 것을 놓치게 되면
교회는 경직되고 성장이 아닌 정체현상이 나타날
뿐만아니라 교회를 이탈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절대 성경의 이야기들이 성경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지금도 1세기 교회들처럼 함께 울고, 함께 기뻐하는
하나님의 공동체로 세워질 수 있다는 믿음과 희망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다.
.
코로나 이후로 많은 것이 바뀐 지금
교회를 위해 늘 눈물흘리며 목회의 방향을 생각하고
고민하는 목회자들에게 이 책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