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잉 홈
문지혁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잉홈 #문지혁 #문학과지성사

✨한 줄 정리
모두가 집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이야기


문지혁의 『고잉 홈』은 삶의 터전을 한국에서 미국으로 옮긴 이민자 혹운 유학생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집이다. 아홉 편의 이야기는 한국과 미국, 어디에도 완벽하게 속하지 못한 이들의 모습을 그리며 드넓고도 단순한 미국 땅에 적응하여 살려는 그들의 노력 어린 시간을 보여준다.

🔖
p.38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현은 항상 두 가지에 놀랐다. 하나는 그 드넓음. 다른 하나는 그 단순함.

p.141 그녀가 저널리즘을 공부하는 이유는 사명감이나 헌신 때문이 아니었다. 해결하고 싶은 사회의 부조리나 시스템의 허점도 딱히 없었다. 영은 그냥 『뉴욕타임스』 기자가 되고 싶었다. 커가면서 영은 자신의 꿈이 속물적이라고 느꼈지만 동시에 크게 부끄러워할 일도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게 뭐 어때서? 그녀는 속물적인 욕망을 대의와 정의로꾸미고 포장하는 데 인생을 허비하는 사람을 너무 많이 봐왔다. 그런 그들에 비해 자신이 딱히 나을 것은 없지만, 세속적인 꿈을 솔직하게 인정하는 건 적어도 죄 하나를 덜 짓는 거라고 믿었다.


사람은 대개 지금보다 나은 삶을 원한다. 그렇기에 자기 안에 있는 가능성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지금 살고 있는 곳을 떠나 새로운 곳으로 향하기도 한다.

아홉 편의 단편소설이 실린 '고잉 홈'은 저마다의 이유로 미국행을 선택한 이민자들이 집으로 돌아가는(좀 더 정확히는 '돌아가고자 하는') 소설집이다. 인물들은 더 나은 내일을 기대하며 한국을 떠나 미국을 선택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새로운 땅을 터전 삼고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지만, 미국에서의 삶은 한국에서의 삶만큼이나 녹록지 않다.

이방인으로서의 불안은 인물들이 미국행을 선택한 순간부터 필연적으로 따라붙는 결과지만, 작가는 그들을 마냥 위태로운 상태로 두지 않는다(작가는 소설집의 제목을 '뜰 안의 볕'으로 생각하고 썼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일까, 아홉 편의 소설 모두 그들에게 다가올 볕을 기다리는 느낌이었다). 자신의 집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그들을 조용히 응원하며 독자에게도 너만의 집이 있는지, 넌지시 질문한다.

'고잉 홈'은 미국행을 택한 이민자들의 이야기지만, 또 다른 삶을 꿈꾸며 삶의 터전을 옮긴 이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여기서 나는 '또 다른 삶을 꿈꾸며'에 방점을 찍고 싶다). 더 나은 삶에 대한 기대와 희망,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발전하는 개인의 모습. 그들이 열망한 기대와 희망은 지금, 여기 있는 우리의 마음속에도 있는 것이기에 독자는 책을 읽으며 그들이 품은 희망과 기대를, 그들의 선택을 돌아보게 된다.

이 속에서 '집'의 개념은 다르게 확장된다. 단순히 생활하는 공간으로써의 집이 아닌 '나'라는 자아가 온전하게 들어찬 공간으로써의 집. 그속에서 '나'는 온전한 나를 이루고,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그러한 순간이 되면 집은 한 번 더 몸집을 부풀려 삶이 된다. 하지만 집(삶)은 언제나 멀리 있고, 지금의 힘듦을 감수하며 나아간다 할지라도 집(삶)으로 향하는 길은 위태롭고 불안하다.

박혜진 평론가의 글 중 '과정이라는 지옥에서 성장을 분실한 채'라는 대목이 기억에 남는다. 결국 이들이, 우리가 원하는 건 내가 온전히 나일 수 있는 공간이자 시간인데, 그것을 향해 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을 잃고 있지는 않은가, 자문하는 순간이었다. 작가는 그 순간을 ‘비겁'이라고 표현했고, 나는 그 대목에서 가슴이 콕 찔린 기분이었다.

가슴이 콕 찔린 기분, '비겁한가?' 자문하는 순간들. 돌아오기 위해 떠나는 나날, 오고 가며 잃게 되는 것들, 그러나 끝내 얻는 것까지. 그것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오래도록 생각해야 할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떠남으로써. 머무르지 않고 나아감으로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