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백 브라운 신부 전집 1
G. K. 체스터튼 지음, 홍희정 옮김 / 북하우스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 추리소설 모음집에서 '브라운 신부'가 나오는 '푸른 십자가'를 읽고 난 브라운 신부의 매력에 푹 빠지고 말았다. 순진하고 어리숙해 보이는 브라운 신부의 재치와 당당함 그리고 우산과 꾸러미를 챙기며 허둥지둥하는 모습 등이 나에겐 너무나 정겹게 느껴졌었다.

그래서 브라운 신부의 전집이 나왔다고 했을 때 참 반가웠다. 그리고 설레는 맘으로 읽었다. 하지만 읽을수록 내 머릿 속에서 상상하는 브라운 신부의 이미지가 차츰 바뀌었다. 푸른 십자가의 어리숙하고 순진한 모습의 기발한 재치를 가진 신부님이 아니라 너무나 날카롭고 냉정한 신부님으로 바뀌어 버렸다.

사람의 본성을 파악해서 범인을 찾는다는 면에서 브라운 신부와 미스 마플은 비슷한 추리 기법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사건을 접하는 태도에는 둘 사이에 커다란 차이가 있는 것 같다. 미스 마플은 사건을 해결함에 있어 모든 것을 다 알고 있고 그것을 과시하려는 듯한 거부감을 주지 않는다. 그녀의 태도는 늘 겸손하다.

하지만 브라운 신부는 단편이라는 한계가 있다 하더라도 사건해결의 흐름를 독자가 따라가기에 힘든 면이 있다. 사건을 해결할 때의 브라운 신부는 독심술사 같다. 범인을 찾는 과정이 너무나 단순하고 쉬워 보인다. 그리고 사건을 해결하고 설명해 줄 때의 그는 겸손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고 인간에 대한 따뜻함을 찾기 힘들게 너무나 냉정해 보인다.

그리고 간혹 보이는 이교도라고 통털어 일컬어지는 동양인과 동양 문물에 대한 비하도 읽으면서 상당히 거슬렸다. 주인공인 브라운 신부가 카톨릭 사제라는 신분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동양문물을 천박하고 사악한 것으로 단정하는 그의 태도가 상당히 못마땅했다.

어쨋든 브라운 신부 전집 1권을 일고 난 후 내가 가지고 있던 브라운 신부의 이미지를 잃어서 좀 섭섭하다. 그러나 전집 5권 중 아직 1권 밖에 읽지 않아 내가 그를 잘못 보고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열심히 다음 권을 읽어 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