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증명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현지인들에게, 그리고 더 중요하게는 자신들에게 통치의 정당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만약 인도에 대한 영국의 통치가 법에 의거한 지배로 인정받지 못한다면, 물리력에 의한 지배로 비쳤을 것이다. 만약 판사들이 출판의 자유를 존중하지 않았다면, 그들은 독재자의 하수인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글과 말을 사용하는 데 영국인들이 본국에서 누리는 만큼의 자유를 인도인들에게 허락할 수는 없었다. - P188
텍스트 해석을 통해 상징적인 우위를 점하고자 하는 경쟁에서도, 적어도 머스킷 총들이 선반에 보관되어 있는 한 제국주의적인 성격이 드러기 마련이었다. - P167
18세기 프랑스의 사례는 검열의 역사를 이해하는 두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하나는 검열관들의 업무에 집중함으로써 검열을 좁게 이해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출판물을 사회질서에 내재된 문화 체계로 받아들이면서, 검열을 넓은 관점에서의 문화예술사안에 포함하는 것이다. 내 입장에서는 후자를 선호하며, 그 방법이다른 시대와 장소의 검열을 연구하는 데 더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 P108
학생들이 제시한 사례가 타당한지 아닌지 여부를 떠나 그것들은 검열을 넓게 정의하면 무엇이든 포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어느 곳에든 검열이 존재한다고 여겨질 수 있다는 뜻이다.하지만 모든 곳에 존재한다면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봐야한다. 왜냐하면 모든 것을 포괄하도록 광범위하게 정의할 경우 구별되는 특징을 전혀 담아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정의는 의미가 없다. 검열을 모든 종류의 제약과 동일시하는 것은 검열을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보이게 만든다. - P13
0. 파리 :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 1. 파리 : 세느강의 부키니스트 거리 2. 뉴욕 : 하우징웍스3. 뉴욕 : 블루스타킹스 4. 뉴욕 : 스트랜드 5. 뉴욕 : 아거시 6. 뉴욕 : 보니의 요리책 서점 7. 뉴욕 : 아이들와일드8. 런던 : 게이스 더 워드 9. 런던 : 페르세포네 10. 런던 : 리브레리아 11. 런던 : 돈트 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