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밤에 읽는 한국 고대사 페이퍼로드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이문영 지음 / 페이퍼로드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원전 2333년, 고조선 건국되다. 


너무나 당연하리만치 쓰여 있어 의심할 생각을 못했다. 2300년도 아니고, 2350년도 아닌 2333년. 무언가 구체적이고, 확증적인 듯한 숫자가 주는 신뢰감 때문이었을까. 어느 것 하나 의심하지 않고 쉽게 넘어가는 나로선 위 문장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습관은 여전했다. 따지고 보면, 대표적 고대 청동기인 크레타 문명이 제대로 발생하기도 전인데 말이다. 어떻게 우리는 "고조선이 딱 이 연도에 만들어졌어요"를 말할 수 있는 것일까. 마늘과 쑥을 강제로 섭취했던 비극적인 어머니를 둔 단군이 건국 연도에 강렬한 집착이 있어 동네방네 소문이라도 냈을까. 그렇지 않아도 미지 투성인 우리나라 고대사 속 사실들에는 자기 정당화와 단순 사견들이 적절히 섞여 있다. 이에 이문영이 지은 <하룻밤에 읽는 한국 고대사>는 우리가 헷갈릴 만한 고대사에 팩트체크를 가한다. 이른바, 동심과 짭들의 파괴랄까.


동심파괴라 한다면, 이 책은 철딱서니 시절 무심코 받아들였던 이야기들에 덮인 예쁘장한 포장지들을 차례차례 뜯어 재낀다. 일례로, 고조선이 기원전 2333년에 건국됐다는 주장엔 자기 정체성을 확실히 하고 싶어 하는 후손들의 욕구가 숨어있다. 무진년설, 갑진년설 등 왔다리 갔다리 하는 기록 속에서 고조선의 생년을 기원전 2333년으로 판결한 건 15세기 인물인 서거정의 <동국통감>이다. 그는 책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지금 살피건대, 요가 일어난 것은 상원 갑자 '갑진'의 일이며 단군이 일어난 것은 그 후 25년 무진의 일이니, 즉 요와 동시에 세워졌다는 것은 그릇된 것이다. (p. 24)  


서거정은 <동국통감>을 쓰기 8년 전, <삼국사절요>에서 무진년설을 주장했지만, 갑진년설로 급선회한다. 무진년설은 요와 고조선이 동시에 세워졌음을 주장한다. 반면, 갑진년설은 고조선이 후발 주자임을 말한다.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서거정이 갑진년설파로 발길을 돌린 건 성리학적 사고가 반영됐을 가능성이 크다. 세조가 가고 성종이 옴에 따라 더욱더 뜨거워진 성리학의 입김이 작용한 결과물인 것이다. 따라서, 기원전 2333년 건국설은 확실한 증거에 따른 것이라기 보다는 유교란 정체성을 굳건히 다지고자 하는 과정에서 결정된 경우일 수 있다. 


한편, 저자는 누가누가 더 목소리가 큰지로 역사를 쓰고자 하는 자들을 경계한다. 이들은 역사에다 MSG 듬뿍 넣어 탐스럽게 꾸민 것도 모자라 우리는 짱, 너네는 짭이라며 갈등을 조장하는 데에도 선수급이다. 이는 팩트를 기반으로 자아성찰을 통해 미래로 나아가고자 하는 인류의 발목을 붙잡는다. 따라서 저자는 허위와 날조로 점철된 이것들에 핀셋을 들이내민다. 배달의 민족이라던가 환단고기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팩트로만 덤비라는 저자에게 여지없이 무너지고 만다.


배달의 민족을 예로 들자면, 우리를 누구냐고 물을 때 흔히 나오는 답들 중 하나다. 뜻풀이는 다양하다. 조상을 의미하는 배와 빛남을 뜻하는 달이 만나 조상의 빛이 천하를 비친다는 주장도 있고, 단군의 한자인 박달나무 단자에서 배달이 유래됐다는 말도 있다. 하지만, 배달의 민족을 역사적으로 우리 민족을 정의한 개념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배달의 민족이란 용어의 출처를 쫓고 쫓다 보면, 20세기 초에 등장한 대종교가 도착점이기 때문이다. 얼핏 떠올렸을 때, 고조선부터 불렸을 법한 배달의 민족은 우리나라 역사를 고려했을 때 신생아 수준에 불과할 뿐이다. 


이렇게 저자는 찐에서 짭을 고르고 골라낸다. 이로써 우리는 사실에 가까운 역사를 혹은 자료 부족으로 무어라 할 수 없는 사실들을 제대로 마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대로 마주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정치의 요체가 무엇이냐는 제자의 물음에 공자는 정명이라 답했다. 사물의 이름을 정확히 쓰라는 뜻이다. 불의를 불의로 보고, 정의를 정의라 하는 것. 그래야만 바른 논리로 바른말을 통해 바른 일을 성사시킬 수 있다. 이는 역사에서도 마찬가다. 필연적으로 펜을 잡은 이에 따라 빛깔을 달리하는 게 역사다. 따라서, 하나를 보더라도 정확히 보기 위한 노력이 결부돼야 적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거울 삼아 현재와 미래를 숙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우리나라 고대사를 바로 보기 위한 참고서다. 말에서 말로, 글에서 글로 전해진 일화들 속에서 누군가의 비유를, 누군가의 정당화를 그리고 누군가의 착각을 사실에서 구별하여 바로 보기 위한 밑밥을 탄탄히 쌓아주기 때문이다.


모처럼 우리나라 고대사를 마주하니 퍽 반가웠다. 국어 교과서를 끝으로 연이 없던 여러 설화들도 잘 지내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실은 이들 뒤에 세력 다툼과 힘의 논리가 숨어 있다고 하니, 슬쩍 놀라기도 했다. 다른 역사들을 읽을 때면 당연하게 여겼던 건데, 경솔했다. 한편으론, 정답을 찾고자 하는 교육과정에 따라 역사를 배웠기에 그 틀에 너무 갇혀있지는 않았나 싶었다. 오늘날에도 관점에 따라 여러 갈래로 비치는 게 사실인데, 역사만큼은 하나의 정답을 찾고자 했던 건 아닐련지. 하나의 사건에도 여러 관점이 있고 그에 따라 미묘하게 달라지는 해석들을 우리나라 고대사를 통해 곱씹는 재미가 있었다. 




본 서평은 부흥 카페 서평 이벤트(https://cafe.naver.com/booheong/201900)에 응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