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생활자의 수기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2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이동현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스토예프스키 <지하 생활자의 수기> 이 글은 1부(지하의 세계)와 2부(진눈깨비의 연상에서)로 나뉘어져 있고 1부에는 주인공의 독백형식의 일기체 문장으로, 2부에는 이 주인공이 지하 생활을 하게된 일련의 사건들과 단상들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 내가 이 글을 읽고 놀란 점은 독백체의 지루할 수밖에 없는 이야기 형식임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주인공의 심정이 잘 표현되고 이해되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이런 관념적인 글을 써 내려가다 보면 쓰는 사람이 중도에 지쳐버리거나 다 썼다할지라도 읽는 사람이 지루해지기 마련인데 이 글은 읽으면 읽을수록 더욱 빠져드는 느낌을 주었다.

사회부적응자 이면서 스스로 주위의 누구보다 현명하다고 생각하는 자, 그가 바로 이 글의 주인공이다. 그는 자신의 의지와 자유로운 의욕을 중시여기며 사회생활에 잘 적응해 나가는 일반인을 바보로 규정짓는다. 그러면서도 항상 그들과 어울리지 못해 안달이지만 그의 성격상 남들과 어울리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그는 글 안에서 자신이 타인에게서 느끼는 열등감을 사회 전체에 대한 조소로 표현하고 있다. 자신의 욕망을 이루지 못한 자는 허풍을 떨거나 남들을 비웃는다는 말이 꼭 들어맞는 듯 하다.

나의 이야기를 해보자면, 내가 대학교에 입학했을 때 과내 동아리에서 내 별명은 '해방이후 가장 건방진 새내기'였다. 합평회에서 선배들이 다른 선배의 글을 칭찬할 때면 난 '왜 선배들이 xx선배의 글을 칭찬하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어요.'라는 말로 시작해서 나의 건방짐을 끝도 없이 발설했었다. 그 당시 난 내가 글을 아주 잘(?) 쓰는 줄 알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선배들이 내 글에 대해 야단칠 때도 속으론 '아~ 내 글을 이해 못하는 구나.'하며 혼자 시니컬한 웃음을 짓곤 했다. 장그르니에가 그의 저서 <섬>에서 말한 시니컬하다고해서 총명한 것은 아니다,라는 문장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겠다.

그리고 난 오늘에서야 비로소 이 글을 통해 고전 읽기의 즐거움을 맛보았다. 책읽기로 인해 사람의 의식이 조금씩 변해간다는 것 보다 매력적인 일이 또 어디 있단 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