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거꾸로 된 세상의 학교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지음, 조숙영 옮김 / 르네상스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부동산의 10%이상을 외국인이 소유하고 있고, 주식시장을 좌우하는 것이 외국인의 애도, 매수세라는 이야기가 이제 낯설지가 않다. 난 우리 나라 주식을 외국인이 살 수도 있나..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주식의 흐름에 무식하지만 자본의 종속화라는 주제를 쉽게 끌어낼 수도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의 종속화란 결국 식민지화 아닌가...

이 책은 섬뜩하게 지구의 현실을 보여준다. 어쩜 이렇게 차분한 말투로 이렇게 끔찍한 이야기들에 대해 이렇게 정확한 비판과 뚜렷한 분석을 가할 수 있는 것인지 저자의 필력이 놀랍기만 하다. 그 문체뿐 아니라 그가 가지고 있는 방대한 자료와 분석력이 놀라울 뿐이다. 그러나 더 놀라운 것은 그가 분석해놓은 우리를 둘러싼 현실이다. 그 글의 내용을 다시 반복하는 것은 읽을 때마다 새로운 인식의 기회가 된다. 반복해야 할 내용이 너무 많으니, 이 책을 일단 책정에 꽂아 놓을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나의 사회비판 의식을 느슨하지 않도록 하게 하고 지랄맞게 아무 때나 열받는 드러운 성질을 가라앉히는 차분함을 갖추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아무쪼록 지식인이라면 갈리아노에게 배워야 할 필요가 있다.

거꾸로 본 현실은 새로운 세상을 보여준다. 이 책을 보면서 나는 10여년전 쯤에 한때 대학가에 유행했던 노래를 흥얼거리게 되었다. 세상은 거꾸로 돌아 제자리 찾아 간다는 노래...생맥주에 노가리, 막거리 문어발 식의 술안주를 읊으면서 이 엄청난 메시지를 담고 있었던 노래 말이다.  이 노래를 처음 들었을 때도 섬뜩함을 느꼈었다. 세상이 거꾸로 돌아 제자리 찾아 간다는 세상이 미쳐 돌아가는 거 같지만 결국 자멸할 것이라는 그래서 원래 제자리로 돌아갈 것이라는 그 노래를 되새기게 되었다. 거꾸로 본 세상은 제자리로 돌아갈 것이라는 혁명의 기운을 느끼게 한다. 신자유주의 역시 그러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명의 안식처, 이집트로 가는 길
정규영 지음 / 르네상스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집트가 손에 잡힐 듯하다. 이렇게 생생한 사진들과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가득하다니.

다만 밤에 읽으면 좀 무섭기도 하다. 미이라 발굴 현장의 이야기 같은 것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울로 솔레리와 미래도시 - 생태와 건축의 만남, 아르코산티
파울로 솔레리 지음, 이윤하.우영선 옮김 / 르네상스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시에서 태어나 도시에서 자라면서 도시에 대해 큰 생각을 해 본 적이 없었던 거 같다. 도시에서 태어났다는 것은 어쨌든 혜택이었다. 도시에서 기반을 잡으면 중년에 접어들면서 시골에 한적한 전원주택을 구입해 그곳에서 생을 마감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누구나 한 번쯤 해보는 생각이로 더러 그걸 과감히 실행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문제는 단순하지 않다. 도시의 문제는 개인이 생활을 영위하다 나이들어 훌쩍 떠나고 말면 그만인 지역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개인이 경제적 기반이 넉넉해져 전원주택에서 한가한 시골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는 안이한 생각을 하고 있을 때 도시는 점점 망가져가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전원도시 혹은 전원주택에 대한 환상이 가진 문제를 정확히 지적한다. 시골로 옮겨가는 개인은 도시의 문제를 지역적으로 확대시키는 것에 불과하다. 특히 생태다 자연이다 해서 현재처럼 통나무주택 같은 게 붐이 일고 있는 현실에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결국 도시에 대한 문제는 도시인 스스로 도시에서 안고 해결해야 하는 것이다.

아르코산티라는 곳에 정말 가보고 싶어졌다. 실제 그런 도시가 있는지 눈으로 보고 싶다. 책에 실린 그림이나 사진은 환상적으로 읽힌다. 우주도시 같기도 하고 건축전공한 학생이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그려낸 졸업작품 같기도 하다.

파울로 쏠레리란 이름은 낯설지만 그의 건축적 생각뿐 아니라 인류와 문화에 대한 사고도 풍부하게 볼 수 있는 책이었다. 난이도도 전공자와 관련없이 쉽게 읽히는 편이다. 또한 대담집으로 짜여져 있어 어렵지 않게 흐름을 따라갈 수 있다. 특히 뒷부분에 실린 아르코산티라는 도시의 현실은 그 현실을 눈으로 보고 싶게 만든다. 도시에 남아서 이 책을 읽고 나면 도시에 대한 생각이 달라진다. 어디 공기좋은 곳의 도피처만을 꿈꾸고 있는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다. 숨쉬기 어렵기까지 한 이 도시에서 어쩄든 우리의 아이들이 태어나고 있고 자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슬람의 과학과 문명 르네상스 라이브러리 2
하워드 R. 터너 지음, 정규영 옮김 / 르네상스 / 2004년 1월
평점 :
품절


이슬람은 아직 낯설고 먼곳이다. 현실은 이슬람을 전쟁과 연결시켰을 뿐이다. 그런데 책들은 이슬람의 과학과 문명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이슬람 지역은 인류 최초의 문명이 뿌리내렸던 곳이기도 하다! 전쟁광에 미개한 것들이나 사는 곳처럼 인식되었던 곳이 문명의 탄생지였던 것이다.

이슬람의 세계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정교하고 세련되어 있다. 미치광이 전쟁광만 아니었으면 이슬람의 세계를 훨씬 일찍 들여다볼 수 있었을 것이다. 그 수준에는 찬사를 보내도 괜찮다.

다만 이 책은 이슬람전공자가 아니라 과학큐레이터에 의해 쓰여졌으며 그만큼 대중적이고 쉽게 씌여있다. 이 책에서 이슬람에 대한 심층적인 인식의 전환이나 사회과학적인 지식을 찾을 필요는 없다. 우선 편견을 없앨 준비가 되어 있다면 이슬람에 대한 긍정적인 호기심을 가지고 이 책을 읽는다면 현실과 다르게 활자들이 이슬람의 문명과 과학에 대해 새로운 것들을 알려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