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생 처음 제대로 접해보는 맑시즘 책이라 읽으면서 정신이 번쩍번쩍 뜨였다. 세계 반쪽의 존재를 이제야 안 기분이다. 너무 흥분해서 트로츠키 책까지 장바구니에 넣고 주문 직전까지 갔다가 정신차리고 뺐다ㅠ 아직은 아니야... 일단 『마르크스의 생태사회주의』만 주문해 봤다. 던전 문 두드리는 초심자의 마음으로 조심스럽게 공부해봐야겠다 (지금 내 흥분상태로 보아 마르크스 더 파고들면 패가망신할 거 같은데... 무섭고 떨리는 기분)

이론가의 임무는 노동자들에게 법칙을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들이 무엇을 위해 싸우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어떻게 하면 그것을 쟁취할 수 있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다. (p. 39)

진정한 혁명은 현대적 생산력과 부르주아적 생산 형태라는 두 요인이 서로 충돌하는 시기에만 가능하다. … 새로운 혁명은 새로운 경제 위기의 결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새로운 경제 위기가 확실한 것만큼이나 새로운 혁명도 확실하다. (p. 54)

(마르크스) 부부는 살아남은 세 딸, 예니·라우라·엘레아노르를 훌륭한 부르주아 숙녀로 기르려고 힘껏 노력했다. 이것은 결코 놀라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개인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에 아무리 반대하더라도 그 사회의 압력을 피할 수 있는 길이 결코 없기 때문이다. (p. 57)

따라서 자본주의의 특징인 폭력과 착취는 공산주의의 발전에 꼭 필요한 조건이다. 그것은 불가피하다. (p. 145)

    마르크스와 헤겔은 다른 차이들에도 불구하고 역사를 객관적 과정으로 봤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즉, 역사는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의 의식이나 의지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이라고 본 것이다. 둘 다 참된 사상가의 태도는 "웃지도 말고 울지도 말고 증오하지도 말고 다만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라는 스피노자의 말에 동의했을 것이다.
    또 마르크스는 그저 도덕적 비판만 하지 않았다는 것도 헤겔과 공통점이었다. 이와 다르게 순전히 도덕적 비판만 하는 태도를 보인 이들은 헤겔 좌파와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이 대표적이었는데, 그들은 기존의 상태와 뭔가 더 나은 이상적 상태 사이, 즉 사회가 어떻다는 것(존재)과 ‘어떠해야 한다‘는 것(당위) 사이의 모순을 단지 대조하기만했을 뿐이다. 그러나 그들에게 이 모순은 정신과 현실 사이의 모순이었다. 그것은 현실 자체의 모순이 아니고 따라서 결코 극복할 수 없는 모순이었다.
    그러나 현실을 변증법적으로 이해하게 되면, 기존의 상태 안에서 변화의 가능성을 찾아낼 수 있고, 현재의 상황 안에서 그것의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경향들을 발견할 수 있다. 정치적 행동은 객관적으로 가능한 것에 바탕을 둬야지, 사상가의 머릿속에서 나온 환상과 선한 의도에 바탕을 둬서는 안 된다. (p.146)

따라서 경제 위기의 근원은 결국 자본주의 생산의 무계획성이다. (p. 233)

마찬가지로 실업자들은 항상 파시스트 운동의 비옥한 토양 구실을 한다. 실업자들은 노동자들이 사용자에 맞서 함께 뭉치도록 만드는 자본주의적 착취의 압력에 종속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p. 255-256)

제국주의 나라에서 민족주의는 노동자들을 분열시키고 오히려 노동자들과 착취자들을 묶어 주는 수단이다. 저들은 "어쨌든 우리는 모두 영국인이다" 하고 떠들어 댄다. 레닌은 마르크스의 주장을 일반화해서, 제국주의 나라의 노동자들은 자신들과 지배계급을 묶어 놓은 사슬을 깨뜨리는 수단으로서 피억압 민족의 자결권을 지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여기서 다시 우리는 민족운동이 혁명(오늘날에는 노동자 혁명일 수밖에 없다)의 일반적 이익에 도움이 되는지 아닌지가 문제라는 것 그리고 민족운동을 판단하는 기준은 노동계급의 국제적 단결을 강화하는지 아니면 약화하는지라는 것임을 알게 된다. (p. 301)

이 원칙, 즉 "능력에 따라 일하고, 일한 만큼 돌려받는다"는 원칙은 마르크스가 강조했듯이 "부르주아적 권리"의 사례다. 그것은 개인들 간의 차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p. 305)

    더욱이, 가치가 생산가격으로 바뀌는 전형 문제에 관한 마르크스의 설명을 수정한 결과를 보면, 3부문의 이윤율은 일반적 이윤율의 형성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것이 뜻하는 바는, 무기를 생산하는 부문에서 자본의 유기적 구성이 다른 부문보다 더 높더라도 이 때문에 일반적 이윤율이 떨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3부문은 다른 두 부문의 생산물을 위한 시장을 제공하면서도 자본 전체의 수익성을 악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무기 생산의 이런 안정화 효과는 이미 1930년대에 분명히 드러났다. 당시 가장 먼저 재무장한 두 나라, 즉 독일과 일본은 가장 먼저 불황에서 회복돼 완전고용을 달성한 나라들이기도 했다. 영국이나 미국 같은 나라들은 제2차세계대전이 시작하고 전시경제로 전환하고 난 뒤에야 비로소 독일과 일본 같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
    그러나 낭비적 생산이 진가를 발휘한 것은 제2차세계대전이 끝나고 동방과 서방의 군사적 경쟁에서 비롯한 이른바 ‘상시 무기 경제‘가 출현하면서부터였다. 소련과 미국 모두 국민총생산의 많은 부분, 즉 이전의 평화 시 기준으로 보면 엄청나게 많은 부분을 무기 생산과 사이에 쏟아부었다. 이것이 (자본주의 체제를) 안정화하는 효과는 자본의 유기적 구성 저하와 이윤율의 안정 또는 상승으로 나타났다. 세계자본주의는 전례 없는 대규모 장기 호황을 누렸다. (p. 335)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1-25 18:0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