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재식의 유령 잡는 화학자 - 귀신부터 저승사자까지, 초자연현상을 물리치는 괴심 파괴 화학 이야기
곽재식 지음 / 김영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귀신부터 저승사자까지, 초자연현상을 물리치는 괴심 파괴 화학 이야기'

무심코 TV 채널을 돌리다가 심야괴담회 를 본 적이 있다.

지금도 출연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저자 곽재식님이 한껏 귀신이야기로 고조된 촬영 현장에 찬물을 끼얹는 과학이야기로 출연자들의 실소를 자아내게 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막연하게 귀신은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그의 그런 이야기들이 너무 끼워맞추기 아닌가 싶었는데, 책을 읽어보니 나름 일리가 있었다.

검은 한복과 갓을 쓴 저승사자 썰은 전설의 고향에서 연출한 후 많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고착화되었다고 한다. 아주 오래 전의 문서 속 저승사자의 모습은 검은 한복이 아니라 오히려 울긋불긋한 관복을 입고 있었다고 한다.

또한 왜 여성 저승사자는 없을까? 오히려 저승은 이승의 기준을 초월하는 세계가 아닌가? 결국은 내 머릿속 고정 관념, 기억 속에서 만들어낸 것이라는 말도 공감이 갔던 부분이다.

가위눌림 현상에 대해서도 귀신때문이 아니라 입면환각 이라는 의학적 용어로 설명했는데, 설득력이 매우 있었다. 특히 가위눌림은 렘수면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 때는 뇌가 몸을 뜻대로 움직이는 능력이 차단된다고 한다. 무조건 귀신이나 혼령으로만 볼 수는 없는 일인 것 같았다.(물론 나는 한번도 귀신을 보거나 가위에 눌린 적이 없기 때문에 저자의 말을 더 믿게 된 것 같다)

그리고 또 공감했던 부분은 많은 이들이 신년운세를 보거나 힘들때 점집을 찾아가는 것이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포러효과라는 용어로 설명했다.

포러라는 심리학자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 검사를 했는데 일부러 전원에게 대충 잘 맞을 만한 아무말이나 써서 돌렸다고 한다. 그럼에도 대부분은 검사결과가 맞다고 얘기했다고 한다. 포러효과란 모두에게 평균적으로 대충 맞아떨어질만한 말을 자신에게 특별히 잘 들어맞는것이라고 착각하는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점집에 가면 누구에게나 맞을만한 두루뭉술한 이야기를 하는데, 마음이 답답해 찾아간 사람들의 입장에선 자기에게 딱 맞는 이야기라고 생각할 법 한 것이다.

물귀신에 대한 이야기도 상세히 풀어놓는데, 측정기술이 발달하기 이전에는 물살이 세거나 갑자기 바닥이 꺼지는 땅의 특성을 모른채 귀신 때문에 사람이 죽어나간다고 생각했던 것도 충분히 그럴 수 있을 것 같았다. 또 물 근처에서는 모기를 통해 말라리아에 감염될 수 있는데 말라리아가 중증일 경우 이상한 증상을 겪게되어 마치 귀신에 홀린 것처럼 행동할 수 있다고 하며 다양한 가설을 제시했다.(아직도 한국에서 말라리아 감염이 있다고 한다.)
물귀신과 말라리아를 연관지어 이야기하다니..ㅋㅋ 신선한 발상이다.

어쨌든 결국은 귀신을 없애기 위해 하는 주술보다도 사람을 진정으로 이롭게 하는 것은 기술발전과 연구의 힘이라고 저자는 강조했다.

" 소금을 뿌리고 팥을 뿌리면 악귀를 물리칠 수 있다고 하지만, 천연두 바이러스는 뽑을 수 없다. 그 기나긴 세월 동안 악귀를 달래려고 사용했던 별의별 기도방법과 주술들과는 아무 상관없이 바이러스 연구와 백신의 힘으로 문제는 해결되었다." P.258

아는 게 힘이라는 말이 있듯, 불가사의한 일들도 결국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밝혀지고 있다. 좀 더 넓게 보고 계속 지식을 넓혀나간다면 우리를 괴롭히는 막연한 일들로부터 조금은 자유로워질 수 있지 않을까? 점집에 가서 나쁜소리 듣고와서 속상해했던 내 자신이 조금은 부끄러워졌다.

물론 저자의 모든 가설들이 다 와닿진 않았다. 악귀들린 인형이 열팽창의 원리로 움직인다는 건 너무 끼워맞추기 아닌가요..ㅋㅋ

전반적으로는 초자연현상을 화학으로 분석하는 이야기들은 나름 일리있으면서도 신선하고 재밌었다.

진짜 귀신을 믿거나 귀신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이 와닿지 않을 수도 있겠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로 철저히 괴심을 파괴하는 책이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