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Volume 2, No. 4 - Spring 2007
아시아 편집부 엮음 / 도서출판 아시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이번 호로 창간 1주년을 맞게 되는 계간 아시아.

매번 받아들 때마다 기대와 설렘을 갖게 되는 것은 왜일까? 아마도 그 컨텐츠가 내게는 때로 신기하게 때로 아주 기이하게 다가오기 때문인 것 같다. 어떤 나라로 여행 가서 새로운 풍물을 보는 것과는 또다른 맛을 안겨 준다. 그러나 이번 호에서는 터키, 대만, 몽골, 한국 여성 4인의 단편소설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아랍 세계의 대표적 여성 작가인 사하르 칼리파의 산문과 장편 소설 맛보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득불 우리 내부로 시선을 돌릴 수밖에 없었던 것은 나로서는 난생 처음 읽게 되는 북한 작가의 산문 때문이다. <나의 발자욱>이라는 북한 시인 영재의 산문은 슬프면서도 아련하고 동시에 가슴 속에서 치밀어 오르는 어떤 민족적 힘과 기운을 느끼게 해 주는 효과를 지녔다. 작가 이름 옆에 영어로 적힌 DPRK라는 국가명칭. ROK DPRK가 같은 한반도 중에서 반쪽만을 지칭하게 되었으며 그 부조리한 상황이 여태까지 지속되어야 하느냐에 대한 회환을 갖기 전에, 작가의 글에서 잘 나타나듯이 이러한 역사적 지각 운동과 같은 억지스러운 단절과 분단의 틈바구니에서 아름다운 비극이 탄생하고 그러한 비극의 주인공이되어 온 몸으로 글을 쓰는, 살아 있는 작가가 탄생할 수 있었다는 것이 위안으로 다가온다. "빗물이 하염없이 흘러내리는 창가에 앉아 나는 난생 처음으로 가슴을 저미는 고독을 체험하였으며 분열의 비극이 나의 일신상에 주는 형언할 수 없는 아픔을 느꼈다." 그의 고독은 어떤 형이상학적이고 종교적인 차원의 고독이 아니라 그야말로 투기된 존재로서 재투기되는 실존적이고 역사적인 고독이 아니고 무엇이랴. 예외적인 존재, 잉여적 인간이란 이런 경우를 두고 하는 말이 아닐까. "그렇게 전우들이 내 곁에서 하나 둘 사라져갈 때마다 나는 고독의 심연 속으로 한 걸음 한 걸음 더 깊이 빠져들어 가고 있음을 느꼈다. 드디여 홀로 남아버린 나는 한밤중에 평양역에 내렸다." 아직 자본주의에 의해 잠식 당하지 않은 최후의 본령으로 남아 있는 북한 땅은 비무장 지대처럼 푸르게 민족의 에너지를 고스란히 간직한 곳으로 내게는 인식된다. 그 북녘땅의 한 사람이 남쪽바다를 마음속으로 그리며 그리워하고 있다. "나의 발자욱/ 지워질 수 없게 찍혀져야 할/ 그런 땅/ 그런 모래불이 나에겐 따로 있나니/ 위대하고 영광이 찬 빛발을 안고/ 내 어린 시절의 작은 자욱 우에/ 큰 자욱을 덧놓아야 할/ 그곳은 내 고향의 바다가/ 통일된 남해의 모래사장이여라." 오늘 우리의 발자욱은 어디를 헤매고 있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