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의 눈물 - 문학으로 읽는 아시아 문제 팔레스타인
수아드 아마리 외 지음, 자카리아 모하메드 엮음, 오수연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팔레스타인... 중동의 화약고, 건조한 사막, 모래 바람, 폭탄에 널부러진 아이들의 시체들, 이스라엘 탱크에 맞선 민중의 저항... 이것이 바로, 갑갑하고 끝이 보이지 않는 아비규환의 소용돌이가 펼쳐지는 지구상 저 왼쪽 지역에 나의 두뇌가 반응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그들의 신산한 삶에 대한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증언은 여태까지 왜곡되기 이전에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우리 의식의 지평에 들어와 있지도 않았다. 알려졌어도 기껏해야 진보 언론의 기사를 통해 파편화되어 알려진 측면이 많다. 이런 상황에서 이 책은 보다 전체적인 상을 그리게 해 준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이스라엘의 힘의 억압에 어떻게 반응하고 어떻게 삶을 모색해 나가고 있는지 시공간을 울려 퍼지는 여러 작가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통해 보여 주고 있다. 이슬람의 문제는 얼마 전 아프가니스탄에서 숨진 윤장호 하사와 고 김선일 씨의 경우에서 보듯이 이제 이미 우리 문제의 일부가 되었다. 미국의 전방위적 세계 전략에 좌우되는 약소국들의 운명을 아랍국들과 우리는 이미 공유하고 있으며 (단, 가해자에 대한 가담자와 피해자의 관계로서), 그러한 연결성을 깨닫는 것이야말로 우리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참된 세계화를 이루는 진보적 발걸음이라 믿는다. 책 말미에 있는 '팔레스타인의 이해를 위하여'(한국외대 중동역사 연구교수 씀)라는 지면은 매우 전문적이면서도 일목요연한 팔레스타인 문제의 훌륭한 요약으로서, 작가들의 글을 읽기 전에 미리 읽으면 짧은 시간에 팔레스타인 문제를 개괄할 수 있는 소중한 문서이다. 오수연 씨와 함께 이 책을 편집한 자카리아 무함마드는 "이스라엘의 점령에 저항하면서도 자살폭탄운동에 대해서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해 이슬람 율법회의에 회부되기도" 한 인물로서, 자유화 함께 평화를 지향하는 작가로서의 정신을 고스란히 대변하고 있는 가장 설득력 있는 삶의 주체로서 각인되고 있다. 이들이 처한 삶의 조건은 다른 종교적, 인종적 조건들에 앞선 실존으로서 약자에 대해 갖게 되는 측은지심이라는 보편적 정서를 담보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증언이며, 이러한 구체적인 실존의 극한 지대에서 오히려 더욱 종교적 편견과 역사의 굴레가 그 악마적인 힘을 발휘하고 있는 절망의 경계에서 오직 필요하고 기댈 것으로 생성되는 것은 희망이며 그 희망이야말로 팔레스타인 민중들의 삶의 원천이 되고 있음을 숙연히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