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소되는 세계 - 인구도, 도시도, 경제도, 미래도, 지금 세계는 모든 것이 축소되고 있다
앨런 말라흐 지음, 김현정 옮김 / 사이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출생률 감소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고

앞으로 어떤 문제와 위기가 닥칠지 예상해보고

미래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기 위해 읽게 된 책 이에요.

우리나라보다 먼저 인구감소 위기를 겪는

다른 나라들의 상황과 대처방안을 살펴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젊은 사업가의 밑줄

p149

독일,

주택 수요는 감소하는데 공급량은 늘어난다.

p150

주택 과잉

미국의 도시에는 다른 무엇보다도

단독주택이 많다.

서유럽과 독일의 도시다세대 아파트 건물

가장 흔한 주택 유형이다.

p155

주택 수요를 결정하는 것 인구수가 아니라

개별 가구수이다.



p157

경제적인 형편에 따라 분리되는 현상이

한층 강화되고 점점 더 많은 주택이 텅 빈 채로

내버려져 있다가 결국 철거된다.



p158

동유럽,

인구도 감소하고, 가구수도 줄어들고,

주택 수요도 감소하고

p168

일본,

2018년에는 7채 중 1채가,

2040년에는 3채 중 1채가 빈집

미국과 흡사한 동시에 매우 다르다.

일본 인구는 10년 넘게 감소했지만

인구 고령화와 자녀 수 감소로 가구 규모가

점차 줄어든 탓에 독일 동부에서와 마찬가지로

가구수는 계속 늘어났다.

하지만 이제 가구수 증가세도 거의 끝났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줄어들 전망이다.


p169

일본의 빈집수가 꾸준히 증가했다.


p170

일본에서는 새집에 대한 선호가 거의 절대적이다.

상당수의 구매자가 새집을 구매할 수 없다면 아예 집을 구매하지 않는다.

p174

결론

여러 나라의 각기 다른 상황에서 도출된

가장 중요한 결론은 인구 감소가 도시의

물리적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저마다 다르다는 것

이는,

건축 환경 자체의 특성과


p176

인구 감소와 가구수 감소 간의 지연 효과다.

인구 감소 초기에는 가구 규모가 축소되는 현상이

두드러졌지만 가구 규모의 축소세는 점차 둔화돼

결국에는 더 이상 줄어들 수 없는 상태에 다다를 것



줄어드는 인구는 우리 경제에

여러 영향을 미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