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 미스터리 2024.봄호 - 81호
김태현 외 지음 / 나비클럽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기억 속 최초의 첫 추리소설은 히가시노 게이고의 책이었다. 책 읽기를 멈출 수 없고, 책에 빠져들 것 같다는 말이 실재하는구나를 처음 느꼈었다. 그런 아이가 커서 한국의 잡지형 추리 장르의 책을 접하게 되었다.

🦋 강렬한 이미지의 표지가 어딘가 낯익다 했는데, 최근에 읽은 그림책 #사랑을한다는건 에서 그림을 그리신 작가님이었다. 엄주 작가님의 그림을 이렇게 책을 통해 우연히 만난게 너무 신기했다.


_
🦋 #인스타그램주식여신 | 김태현/팩트스토리

인스타그램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부업 및 수익인증의 글들. 그들의 공통점으로는 늘 아이의 얼굴과 자신의 얼굴을 걸고 운영을 한다는 것. 나는 그런 사람들을 보고 늘 “가짜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저 사진도 누군가 다른 사람의 사진을 도용한 것이겠지, 라는 생각을 종종한다. 여기까지는 그저 내 생각이었다. 그런데! 이를 주제로 단편의 글을 읽는데, 진짜 하이퍼리얼리즘 그 자체였다😂 나는 잘 모르지만 어쩌면 이건 소설이 아닌 현실을 각색한 어떤 이야기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만큼 생생했다. 그리고 다시한번 되뇌인다. ”쉽게 돈 벌 수 있다면, 그건 남에게 알려주지 않는다!“


🦋#사이버니르바나2092 | 서동훈

SF가 배경인 2092년의 이야기. 나는 깊이 생각하지 못했지만, AI 인공지능은 다가오는 미래의 가장 큰 두려움이 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간이 컨트롤 할 수 있는 영역을 넘어서 “생각”과 “성격”을 가진 AI가 정말 있으려나 싶었다. 그리고 소설 속 #블랙아이 라는 개념이 나온다. 내가 해석하기엔, 이는 새로운 형태의 감시체제 같았다. 블랙박스처럼 따로 카메라 없이 우리가 보는 시야 그 자체로 저장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오히려 카메라를 가지고 찍는 사람을 보며 “순수하다!”라고 표현한다, 오히려 의뭉스럽지 않다는식으로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단 한가지 씁쓸했던건, 이렇게 과학이 발전한 저 미래에도 자본주의는 더 굳건해지겠구나, 하는 것 말이다.


🦋#낭패불감이러지도저러지도못하고 | 무경

#낭패불감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에 놓임.

악마와의 대화로 시작하는 이야기. 개인적으로 이번 봄호에서 가장 재밌게 읽었던 단편이다. 마지막에 반전이 나오니 ✨ 그리고 수사관들의 대화가 나와서 그런가, 그 시절 고문과 자백에 대한 수치심때문인가, 조금 더 무게를 두고 읽어 내려가게 되었다.
그리고 트롤리 기차의 딜레마에서 누군가는 이득을 얻었다는게 충격이었다. 이 악ㅁㅏ...


🧜‍♂️ 트릭의 재구성 #교도소독방살인사건 | 황세연

독자에게 말을 거는 추리문제. 난 풀지 못해서 정답을 봐버렸지만!! 와...ㅋㅋ 재. 밌. 다!!! 블로그에서 과월호 트릭의재구성..들 찾아봐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