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러 안데르스와 그의 친구 둘
요나스 요나손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질서를 어지럽히고 도덕적 해이를 초래한 사이비 종교의 만행으로 사회가 혼란스럽다.

나라를 쑥대밭으로 만들어 놓은 개인과 집단으로 오랫동안 문제를 야기시킬 것 같다.

이런 어두운 시기에 읽기 딱 좋은 책이 있는데, 

이번 요나스 요나손의 신간 <킬러 안데르스와 친구 둘>을 뽑겠다.






자칭 킬러라 불러다오. 

몸과 머리의 재능은 다르다는 것을 과감없이 보여준 한 청부업자 요한안데르스.

타고난 불운아이로, 리셉셔니스트라 부르고 하숙텔 빵셔틀이라 쓴다, 페르 페르손.

성스러움은 개나 줘버려, 사기꾼 냄새를 풍기는 목사 셸란데르 요한나.


이 세사람과 자잘한 악당들이 벌이는 사건을 한 권으로 담았다.

<킬러 안데르스와 친구 둘>은 인간의 탐욕과 사회 어두운 이면을 과감없이 드러낸다.

그런 의미에서 소설 장르로 본다면 블랙 코미디로 뽑을 수 있겠다.


많은 독자들이 책의 처음과 끝을 달리며 한결 같이 드는 생각이 있을 것 이다.

"이 사기꾼들!"

"믿을 놈 하나 없다더니!"


오랜 감옥 살이를 마치고 하숙텔에서 조용히 기거하는 킬러 안데르스를 중심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이 하숙텔의 직원 페르와 지나가는 행랑가(?) 목사 요한나는 안데르스의 타고난 싸움 실력으로 돈 벌이 계획을 펼치는데,

이 두 사람의 계획에 완전히 말리게된 안데르스는 팔과 다리를 부러뜨리거나 협박으로 차곡차곡 부를 축적한다.

(물론 모든 재산은 세 사람이 나눔.)

평화롭게 사업이 이어가는 도중 엉뚱한 난간에 봉착한다.

성경을 통해 스물스물 하나님의 존재와 진리를 깨닫게 된 킬러 안데르스가 청부 파업을 선언하고,

불우 이웃을 돕기 위해 기부의 기부를 연장한다 선언한다. 

이를 탐탁치 않아 하는 이들이 있으니, 바로 그의 반쪽 친구이자 동업 파트너 페르와 요한나.

이 같은 선행을 마음 먹은 안데르스에 페르와 요한나는 유일한 생계 수단이 없어져 실업 당할 위기에 봉착한다.

그리하야 그들의 "본격 안데르스 뒷통수 치기 작업!"

이 같은 술수에 8할을 계획하신 이는, 허울만 성직자인 속이 새카만 목사 요한나이다.


그들은 청부업에 명성이 난 안데르스를 홍보하여 교회를 세우고, 

예배에 헌금한 돈들을 빼돌려 부를 축적하기로 하고,

이 같은 과정에서 벌여지는 일들과 막판에 악행들을 참회하는 이들의 모습으로 이야기는 끝이 난다.



아무런 교육과 체험도 없이 그저 명성과 돈으로 교회를 세우고자 하는 세 사람을 보며,

요즘 교회의 문제점을 느꼈다.

이리 허술히 목자를 세우는 경우가 많으니,

정말 하나님의 뜻을 받들여 목회를 하는 성직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정설과 어긋난 이단과 사이비 종교가 만연하는 세상을 초래된 것이 아닐까.

(물론 모든 교회의 집파가 그런 것은 아님.)


또 나눔과 갈취의 연장 선상에 놓인 이들을 보며 지금 사회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집은 작가의 시점이 보였다.

양의 탈을 쓴 늑대.

순진한 이들을 교란시켜 목적을 이루는 악당들은 나의 옆에도, 당신들의 옆에도 항상 기거한다.



 



각각의 책에서 지은 작가 특유의 문체가 녹아 있듯이, 

변역서 또한 원서의 작가의 흔적 이외의 번역가의 문체가 보이는 것이 불가피한데, 

요나스 요나손의 작품들을 보면 번역 작가의 향기가 느껴진다.

임호경 작가는 피에르 로미트르, 베르나르 베르베르, 기윰 뭐소 등의 저명한 작가의 작품을 번역한 바 잇다.

불어 서적에 관심이 있다는 사람들에게는 익숙한 번역작가이겠다.

요나스 요나손 작품에 첫 발을 들여 놓아 생소한 독자들에게 친근함을 느끼게 할 것 같다.

원작가와 번역작가의 궁합이 책의 완성도를 높이는 중요 요소라 하는데, 그에 딱 걸맞는 예인 듯 하다.


요나스 요나손의 작품들은 해학적인 요소가 많이 보인다.

웃음 속에 감쳐진 어두운 메세지.

이는 사회와 개인에게 던지는 지금 사회 현상들의 문제점들이다.

그의 작품들 중 생각에 생각을 더한 작품으로 단연 <킬러 안데르스와 친구 둘>이 아닐까.

대놓고 낄낄대며 웃을 재미는 다소 떨어지지만, 가장 지금 시대의 이기를 보여준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