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 발칙한 혁명 - 비틀스, 보브컷, 미니스커트 - 거리를 바꾸고 세상을 뒤집다
로빈 모건.아리엘 리브 지음, 김경주 옮김 / 예문사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영국의 전설적인 밴드 '비틀즈', 보브컷의 창시자 '비달사순', 미니스커트의 창시자 '메리 퀀트'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1963년을 기점으로 세상에 나온 유명인들이다.

90년대생인 나에게 1963년은 나의 부모님도 태어나시지 않은 먼 시대인데 익숙하게 느껴지는데, 아마 아직도 칭송되고 있는 유명인들때문이지 싶다.

밴드 비틀즈의 노래는 아직도 거리에 흘러 나오고 헤어디자이너 비달사순의 이름을 딴 브랜드는 누구나 들어봤음직 싶고, 나아가 내 서랍에도 있다.

또 그 시기의 파격적인, 경악 할 만한 수준의 차림새인 미니스커트는 여자라면 한 벌씩은 갖고 있는 대중화된 패션이다.

지금은 익숙하고 당연하다 여기는 모든 것들의 탄생이 바로 1963년이기에 친숙한 년도가 아닐까?

이 시기의 산 증인들의 인터뷰를 담은 책을 만나게 되었다.




태생이 개방적이라 느껴지던 서양인들에게도 2차 세계 대전 이전의 문화는 다소 보수적이었다고 한다.

헌데, 세계 2차 대전이 끝나는 시기의 1963년에 문화 격동기, 즉 세대교체가 이루어진다.

여자 혼자 자유롭게 독립도 허락되지 않은 시대 분위기, 젊은이들의 자유로운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은 분위기는 이 시점을 계기로 완전히 탈 바꿈한다.

그 시대 증인들의 인터뷰에 의하면 기성세대가 확립한 질서에 반기를 들고 그들만의 세계를 구축했다.

이러한 변화들은 반세기 가량 이루어졌고, 결국 이들은 다른 문화 형태를 다음 세대들에게 넘겨주었다.




첫 앨범을 녹화하고 있는 비틀즈의 모습이 찍힌 사진을 보며 자신들의 앞으로의 미래를 조금이나마 예측할 수 있었을까? 하는 궁금증이 들었다.



당시 자유로운 시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던 사진.

 

책의 시작과 끝을 함께 하며 과연 50년 뒤의 출판계에 지금 시대를 기억하고 증언하는 책이 나올까 하는 궁금증을 안게 되었다.

지금 이 시대에 억압받는, 허락되지 않고 우스꽝스럽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들이 후세엔 어떻게 생각되고 그들의 입장에서 우리의 문화는 어떻게 추억될까?

틀에 박힌 관념에서 벗어난 우리의 생각과 문화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