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시리즈
패트릭 푸트 지음, 최수미 옮김 / CRETA(크레타)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튜버 토리코나님의 채널을 구독하기 시작한 지도 어느덧 다섯 달이 되어간다. 토리코나님은 독서와 책에 관한 영상을 주로 올리시는 유튜버인데, 북튜버로서 그 분이 가진 최대 장점은 그 분이 갖고계신 번역가라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의 옮긴이 최수미 번역가가 바로 북튜버 토리코나 씨다. 그 분의 인스타를 구독하고 있던 중, 직접 번역하신 새 책이 출간된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 책이 내가 굉장히 좋아하는 어원 주제의 책이라는 것을 알게 되자 나는 바로 이 책을 주문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좋은 기회에 서평 이벤트에 지원해 책을 받아볼 수 있게 되었고, 지난 2주간 침대 옆 협탁에 올려놓고 틈날 때마다 읽어왔다. 비문학 도서의 좋은 점 중 하나다. 한 번에 쭉 읽을 필요 없이 봉지째 책상 위에 놓인 젤리처럼 생각날 때마다 몇 쪽씩 읽어나갈 수 있다는 것.

서평을 시작하기 전에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게 있다. 나는 영어를 어느정도 구사할 수 있고, 서양 문화에 대한 얕은 지식을 갖고 있으며, 특히 그리스 로마 신화에 관해서는 해박하다.


끝까지 읽지 않아서 블로그에 기록하지는 못했지만, 얼마 전에 읽은 또 다른 핫한 어원 관련 도서 <걸어다니는 어원 사전>와 비교하는 식으로 서평을 작성해보고 싶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의 손을 들어주고싶다.


1. 내용의 정돈성

<걸어다니는 어원 사전>의 경우 목차를 펴면, 별다른 구분 없이 제목들이 끝없이 늘어서 있다. 한 챕터의 처음에 등장한 단어의 어원에 대해 집착적인 설명을 계속하다보면 어느샌가 마지막 단어로 흘러가 있다. 그리고 그 마지막 단어가 다음 챕터의 첫 단어가 된다. 한마디로 챕터와 챕터 간의 끝말잇기 같은 느낌이다. 그런데 그 책의 작가가 워낙에 집착적으로 어원 하나에 대한 설명들을 늘어놓다 보니, 전혀 연관없어 보이는 단어들이 한 챕터의 처음과 끝에 각각 자리하고, 결과적으로 앞 챕터와 뒤 챕터 사이에는 전반적인 내용의 공통성이 없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의 경우 큰 11개의 챕터 안에 10개 내외의 단어들을 소개하는데, 각 챕터 안에 속한 단어들은 큰 제목 안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1-국가 안에는 여러 국가의 이름들에 대한 설명이, 4-역사적 칭호 안에는 유명한 역사적 인물에 붙은 수식어에 대한 설명이 담겨 있다. 하나의 단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다른 단어들을 많이 소개하지 않는다.

2. 포괄하는 단어 풀의 크기

<걸어다니는 어원 사전>은 하나의 어원을 공유하는 수많은 단어들을 한 번에 소개한다. 그래서 동사나 형용사도 많이 등장한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은 여러 고유 명사들의 이름을 어원 단위로 풀어보는 느낌이라 소개되는 모든 단어들이 고유명사다.

3. 저자의 직업

<걸어다니는 어원 사전>의 작가는 블로거다. 블로그는 글로써 대중을 만나는 매체이므로 설명이 어렵거나 압축적이어도 여러 번 다시 읽으며 되짚어 볼 수 있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의 작가는 유튜버다. 유튜버는 그림과 음성으로써 사람들을 이해시켜야하므로 설명이 쉽고 자세하다.

4. 저자의 유머

<걸어다니는 어원 사전>의 작가는 매우 웃기다. 그 책의 서문은 내가 읽은 그 어떤 책의 서문보다도 웃겼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의 작가는 안타깝게도 그다지 웃긴 사람은 아닌 것 같다. 하지만 섬세해서 어원에 관한 배경 지식들을 꼼꼼히 설명해준다.

5. 문체

<걸어다니는 어원 사전>는 ~~합니다. 체를 쓴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은 ~~다. 체를 쓴다.


애초에 단어를 어원 단위로 쪼개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은 각 어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듣고 싶지 않을까? 적어도 나는 그렇다. 나는 한 어원에 대해서 배우고 나면, 같은 어원을 공유하는 다른 단어를 볼 때 높은 확률로 그 어원을 떠올리고 왜 그런 단어가 형성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더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이 책이 더 마음에 들었다.

하지만 "'어원'이라는 것을 배우면 얼마나 여러 가지 단어를 한 번에 익힐 수 있는지" 를 느껴보고 싶은 사람들은 <걸어다니는 어원 사전>도 추천한다. 한 가지 어원을 공유하는 단어들이 얼마나 많고, 얼마나 다른 분야들에 퍼져 있는지 알 수 있다.

'어원' 이라는 것에 흥미를 갖고 싶고, 공부라기보다는 그냥 영단어를 보는 관점의 변화를 찾고 싶은 사람은 <걸어다니는 어원 사전>을 읽고, 유명한 고유명사들이 왜 그런 이름을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지식을 쌓고 싶은 사람은 <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솔직히 <걸어다니는 어원 사전>은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읽는 중에도 상당히 피로했고, 책을 다 읽은 뒤에 크게 기억에 남는 내용도 별로 없었다. 그래서 지식을 쌓는 것보다는 어원 감각을 익히는 데 더 도움이 될 것 같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을 읽으면서는 영단어를 배우며 역사, 인문, 과학 교양을 쌓는 기분이 들었다. 책 안에 담긴 내용은 더 적지만 머리 속에 남은 내용은 이 쪽이 더 많다.


결론적으로, 두 책은 주제만 같지 상당히 다른 책이다.

영단어의 형성에 관한 감각을 익히고싶다면 <걸어다니는 어원 사전>을,

영단어의 유래를 살피며 인문사회 교양을 쌓고 싶다면 <알아두면 쓸모 있는 어원잡학사전>을 읽는 것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