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과 나 사이 - 너무 멀어서 외롭지 않고 너무 가까워서 상처 입지 않는 거리를 찾는 법
김혜남 지음 / 메이븐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고백하자면, 나는 정신분석 전문의 김혜남의 책을 좋아한다. 처음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로 거슬러 올라가 그녀의 뜨겁지 않으나 따뜻하고, 전문가적이나 어렵지 않은 글을 읽으며 마음을 풀어놓기도 추스르기도 했다. 20살에서 30살로 넘어 가는 녹록치 않은 길목에 많은 의지가 되어 주었던 책이다. 그런 그녀가 새로운 책을 냈다.< 당신과 나 사이>라는 책이다. 누구나 공감할 법한 사례와 적절한 비유, 학술지, , 영화 등 다방면에서 차용한 인용구들이 저자의 이야기를 설득력 있고 흥미진진하게 전해준다.

P.5 왜 우리는 낯선 사람에게는 친절하면서도 정작 가까운 사람들과는 잘 지내지 못하는 걸까? 왜 우리는 각자의 섬에서 외롭다고 말하는 걸까? 무엇이 당신과 나 사이를 이렇게 아프게 만들고 있는 걸까?

관계에 대한 고민은 너무도 흔하고 일상적이다. 가족, 학교, 회사 내가 속한 모든 공동체로부터 관계가 파생되고 그 수많은 관계 속에서 나를 잃고 표류하게 되는 일이 많다. 저자는 그런 관계들로부터 거리를 두라고 조언한다. 거리를 둔다는 건 상대가 나와 다름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일이다. 그것은 서로에 대한 존중이므로 거리를 둔다고 멀어지거나 서운함이 생기는 부분에 죄책감을 갖지 않아야 한다고도 말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생각해보면 그것만큼 어려운 일도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기를 내보라고 저자는 등을 떠민다.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그 누구도 나를 함부로 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설령 그것이 가장 가까운 가족일지라도. 관계의 중심엔 자존감이라는 뿌리가 있었다. 엄마와 딸, 남편과 아내, 시어머니와 며느리, 친구와 동료 그들과의 관계에서 가장 존중되어야 하는 나를 맨 뒤로 미뤄 두진 않았는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이 책의 또 한가지 좋은 점은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관계에 대해 대상별 가이드 라인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관계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이들이라면 실제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이 저자의 그동안의 책들과 다른 부분은 투병생활에서 나온 경험들이 여럿 실려 있다는 점이다. 파킨슨병에 걸려 몸이 굳어가는 고통을 고스란히 겪어야 했던 저자는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한 것 같다. 이 책의 큰 골자는 나에게 소중한 사람들과의 의미 있는 관계에 집중하자. 쓸데없는 관계에 당신의 노력과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라는 것인데 이는 지금 저자가 처해 있는 상황과 맞물려 더욱 의미심장하게 들린다.

어차피 서로 기대어 살 수 밖에 없는게 인생이라면 누군가에게 어깨를 내주는 법과 함께 잘 기대는 법을 배워서 당신이 더 이상 외롭지 않으면 좋겠다는 저자의 바람대로, 많은 사람들 속에서 문득문득 외로워 질 때 이 책을 꺼내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