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 집공부 - 고교학점제, 강점찾기가 진짜 선행학습이다
진향숙 지음 / 유아이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가 바뀌고 아이들의 학년도 바뀌었다. 큰 아이는 이제 빼도 박도 못하는 초등 고학년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앞으로도 이어질 길고 지루한 행보를 생각하면 아찔해지는 건 나뿐인가... 큰 아이는 오늘도 학원에 가기 싫다며 볼멘 소리를 했다. 나로서는 최선책으로 택한 학원이지만, 가뜩이나 싫어하는 과목을 아이가 순순히 따라 줄리가 없다. 그 마음은 이해가 가지만, '그래도 어떡하니, 해야지...' 하고마는 나는 내 선택이 맞는 것인지 늘 불안하다. 그럴때마다 찾는 것이 점집 대신 책인데 이번에 고른 책은 <초등강점 집공부>다. 

무엇보다도 내 마음을 끈 단어는 '고교학점제'. 이름은 들어봤지만 아직 누구도 경험해보지 못한 신기루 같은 존재다. 우리 아이들이 고등학생이 되었을 때 즈음엔 정착이 되어 있으려나, 중간에 또 어떤식으로든 바뀌려나 생각도 많지만 일단 뭔지 부터 알고 싶었다. 하지만 <초등강점 집공부> 이 책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을 하는 책은 아니다. 고교학점제, 나아가 우리나라가 앞으로 21세기에 지향하고자 하는 교육적 목표에 대한 이야기이며, 그런 사회적 목표에 대비해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에 가깝다. 





고교학점제의 가장 큰 특징은 맞춤형 교육이라는 점이다.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하겠다는게 큰 골자인데, 그러다 보니 선택지는 무수하게 늘어나고, 그 많은 선택지들 중에서 나만의 것을 고르려면 스스로의 강점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첫째 강점을 찾아야 한다. 장래희망을 묻는 대신에 좋아하는게 무엇인지 물어야 한다. (내 생각에는 이부분이 가장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부모의 관심과 관찰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기다. 둘째, 강점을 확장해야 한다. 이때 부모는 서칭, 놀이, 견학, 체험등 강점을 확장하기 위한 서포트를 할 수 있겠다. 셋째, 자신의 강점을 알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해야 한다. 이 마지막 단계까지 오면 부모는 할 일이 없다. 니가 좋다면 무엇이든 괜찮다는 마인드 셋 정도만 하면 된다. 

이 책을 읽고 지금 우리가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방법들이 가까운 미래에는 통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령기의 아이들은 계속 줄어 들고, 특기, 딴짓, 뻘짓 같은 것들이 직업이 되는 시대에 살고 있으니 말이다. 책에 나온 저자의 예시처럼 '인정하고 지켜보는 부모'가 가장 어렵다는 것을 알기에, 아이들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