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아이)의 심리학 - 심리학자가 들려주는 딸의 불안, 스트레스, 관계에 대한 이야기
리사 다무르 지음, 최다인 옮김 / 시공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큰 아이가 초등 고학년이 되어 가면서 육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젠 대부분의 일상을 엄마의 도움없이 할 수 있게 되었지만, 반대로 사사건건 대립하게 되는 일도 많아졌다. 사소하게는 저녁에 양치질을 하는 일부터, 크게는 친구 문제까지 어느 하나 쉽게 넘어가는 일이 없다. 덕분에 나의 잔소리는 길어지고 아이는 귀를 닫아 버린다. 아이는 몸과 마음의 변화, 점점 넓어지는 세계가 불안하고 엄마는 딸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몰라 불안하다.



<여자 아이의 심리학> 이 책은 엄마와 딸, 두 사람 사이에 공존하는 불안의 문제를 다룬 책이다. 대부분의 불안은 관계에서 오고 그 관계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부모와 딸의 관계, 동성 친구와의 관계, 이성 친구와의 관계, 사회 문화적 관계속에서의 여성 등 여자 아이가 살아가면서 맺게 되는 많은 관계 속의 불안을 들여 다 보는 책이다. 


이 책의 첫번째 챕터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단어는‘일상적 번거로움’이다. 사람들은 아주 큰 일이 아니더라도 일상적인 작은 번거로움으로 인해 많은 불안을 느끼게 되며, 그 불안은 쉽게 증폭된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불안이 꼭 나쁜 것이 아니라 내 몸을 지키는 최소한의 방어기제라는 조언도 곁들인다. 그러니 불안을 느끼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 불안을 어떻게 잘 다루느냐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여자아이들은 스트레스와 불안에 취약하며, 기복이 심할 수 있다는 부분을 인정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두번째 챕터에서 가장 와 닿았던 부분은 불안을 회피하는 문제였다. 나 역시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기제로 회피 라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순한 기질인 우리 딸들도 대부분 문제 상황을 회피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회피는 불안을 증폭시키는 문제가 있다. 부모는 어렵지만, 아주 조금씩이라도 문제 상황을 직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부분이었다. 




이외에도 동성 친구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황들과 불안의 종류들, 이성 친구와의 관계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조언들, 우리 사회가 강요하는 사회, 문화적 여성상과 그것을 바라보는 시점등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미국을 배경으로 쓴 책이라 다소 이질적인 부분도 있었으나 대부분은 우리 시대의 여자 아이들, 아니 요즘 아이들에게 발생하는 많은 불안에 대해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우리 딸과의 건강한 관계를 위해 여기에 나와 있는 불안의 개수만큼 이나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 

분명히 해두자면

우리 부모들은 감정적 혼란을 심오한 초연함으로 기꺼이 받아들이는 온화한 선종 스님이 될 필요도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

더불어 아이에게 나중에 후회할 만한 방식으로 반응해버렸다고 해도 우리 아이들은 상당히 회복력이 좋다는 것,

그리고 부모가 늘 완벽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기억하자

P.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