룬샷 - 전쟁, 질병, 불황의 위기를 승리로 이끄는 설계의 힘
사피 바칼 지음, 이지연 옮김 / 흐름출판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전집을 한 질 주문했다. 하나의 주제에 대해 사회, 과학, 문학, 예술 등 다방면으로 다루는 창의 융합 도서라는 선전에 이끌려 홀린듯 결제 버튼을 눌렀다. 사실 융합적인 사고가 아이의 사고력과 창의력을 키운다는 마케팅 문구는 최근 교육부에서 교육과정을 바꿀 때마다 언급되는 내용이다. 하지만 창의 융합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그러던 어느날, 나는 물리학자가 쓴 경영서를 보며 이것이 말로만 듣던 그 융합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룬샷> Loon shots, 제목만 보고는 도통 내용을 가늠할 수 없는 책이다. 처음 들어보는 이름의 저자도 약력만 봐서는 화려하기 그지없다. 알쏭달쏭한 제목과 저자보다 빌 게이츠, 정재승이라는 이름이 더 눈에 띈다. 도대체 어떤 내용이길래 이 유명한 사람들이 극찬을 하는지 좀 읽어봐야겠다. , 물리와 경영이 융합하는 장면을 직접 목격하고 경험해 보고 싶기도 하다.


 

"회사를 어떻게 세울 것인가 하는 문제 자체가 정말로 매력적이죠."

잡스는 그의 전기를 쓰고 있던 월터 아이작슨에게 그렇게 말했다.

때로는 회사 자체가, 회사를 조직하는 방식이 바로 최고의 혁신이더군요.”

p.264


 

 


그러려면 먼저, 이 책에서 다루는 룬샷프랜차이즈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룬샷은 터무니없이 획기적인 아이디어, 다른 이들이 말도 안된다고 여기는 아이디어를 말한다. 반대로 프랜차이즈는 이미 개발되어 안정적인 결과를 내는 상태를 말한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개념은 상전이. 정확한지는 알 수 없으나 태생이 문과인 내가 이해한 바로는 물이 얼음으로 물질의 상태가 바뀌는 것처럼 물질의 변화하는 모든 순간을 상전이라고 한다. 상전이는 서로 경쟁하는 두 힘(결합 에너지와 엔트로피)이 만들어 낸 결과이며 이는 변화의 중간에 어떤 힘(구조)을 가하느냐에 따라 물질의 상태가 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룬샷에서 프랜차이즈로 가는 상태의 변화, 즉 상전이를 통해 시스템(구조)이라는 작은 변화가 어떻게 혁신적인 조직을 만드는지 설명해준다.

 

 



현장의 병사와 벤치의 예술가 사이에 오가는 균형 있는 아이디어와 피드백을 통해 가장 유리한 룬샷을 고르는게 아니라,

오직 신성한 리더의 뜻에 따라 아이디어가 정지될 때, 팀이나 기업은 함정에 빠진다.

p.174

 

 



초반부터 생소한 용어와 물리학적 지식들이 대방출되다 보니 살짝 긴장이 되기도 하였으나 그 다음부터는 무척 흥미로운 이야기들의 연속이었다. 세계2차 대전의 비하인드 스토리부터, 신약 개발과 무기 개발의 역사, 애플과 뉴턴, 미국 여객기 산업의 역사 등, 경제적 사건들과 과학적 현상을 결합시켜 풀어내는 저자의 입담에 흠뻑 빠져든다. 전반에 룬샷의 성공담과 실패담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면 후반부에는 실제 이러한 개념들로 어떻게 조직의 구조를 바꿀것이냐는 이야기로 전환된다. 주로, 리더는 조직이 룬샷과 프랜차이즈의 균형을 유지하며 선순환 할 수 있도록 조직 구조를 견고히 해나가야 한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말로 성공을 이루는 사람들, ‘우연한 설계자들은 그보다 덜 화려한 역할을 맡는다. 그들은 어느 한 룬샷을 열렬히 지지하기보다는 많은 룬샷을 육성할 수 있는 뛰어난 구조를 만든다. 그들은 예지력 있는 혁신가라기 보다는 세심한 정원사에 가깝다. 그들은 룬샷과 프랜차이즈 양쪽을 잘 돌보며,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을 압도하지 못하게 한다.

p.79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룬샷>은 한 조직의 리더가 읽었으면 싶은 책이다. 예전에 사회 생활을 하던 회사는 식스 시그마와 품질경영에 열을 올리던 제조회사였다. 한 때는 룬샷 아이템으로 급성장하였으나 변화하는 시장의 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해 한참 고전했던 기억이 있다. 지금도 그런 회사는 산재해 있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혁신을 부르짖는 사장님들께 이 책의 일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