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백 포티큘러 북
댄 카이넨.엘라 모턴 지음, 장정문 옮김 / 소우주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해리포터를 보면 신문이나 책에서 그림이나 사진이 움직이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액자 속 그림들이 인사하는 것 만큼이나 신기하고 재미있는 연출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실제로 그런 책이 존재하다니포티큘러북 <아웃백>을 보고 나는 하마터면 소릴를 지를 뻔 했다. 해리포터에 나오는 먼지쌓인 고서들처럼 두껍고 가죽 느낌의 표지를 가진 책이었는데, 책장을 넘기자 정말로 책 속 캥거루가 어디론가 달려가는 거였다. 서둘러 아이들을 불러 모았다. 캥거루를 본 아이들은 모두 입을 모아 "우와"를 외쳤다.


움직이는 책의 기본 기술은 홀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것 같지만 전세계에 이 정도 인쇄 기술을 가진 곳이 몇 군데나 될까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마감이 탁월하다. 물론 그 때문에 책이 두꺼워 질 수 밖에 없었던 점은 이해를 해야할 것 같다. 보다 다이나믹한 움직임을 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주의 할 점도 있는데, ‘평평한 곳에 책을 놓을 것’, ‘페이지의 끝부분을 잡고 움직일 것’,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할 것이다. 그 세 가지만 지키면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동물들을 구경할 수 있다. 책장을 넘기는 속도에 따라 동물들이 움직이는 속도도 동작도 달라지는데 몇 번을 넘겨봐도 재미있고 신기할 따름이다. 어른인 나도 그런데 아이들은 오죽할까.

 

 

 

흥분을 가라앉히고 책 내용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야겠다. 포티큘러 북은 이미 시중에 여러 가지 시리즈로 나와 있는데 이번에 내가 펼쳐본 책은 호주(오스트레일리아)의 내륙지방 <아웃백>에 대한 이야기다. 이 책을 읽고, 아웃백이 호주 내륙의 척박한 토양이 있는 불모지로, 사막, 열대우림, 관목지, 삼림지, 습지, 초원 등 복합적이고 아주 흥미로운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곳이라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이미지에서 벗어나야 한다) , 17세기 영국의 식민지화로 토착 원주민들이 사라지고 풍부한 자연 환경들이 파괴되어야 했던 호주의 역사도 알게 된다.

 



아웃백의 독특한 자연환경 때문인지 이곳에만 서식하는 동물들도 많은데 빌비, 쥐캥거루, 반디쿠트, 푸른혀도마뱀 등이 그 예이다. 오리 얼굴에 너구리를 합쳐 놓은 듯한 독특한 외양의 오리너구리도 전세계 많은 학자들의 관심 대상이다. 이 책에는 그중에서도 캥거루, 갈라(앵무새의 일종), 웜뱃(유대류, 정육면체의 배설물), 공작거미(독이 없고, 공작새처럼 화려한 색), 코알라, 목도리도마뱀, 가시두더지(고슴도치처럼 생긴 두더지), 낙타(단봉낙타, 유해동물)의 모습이 실려있다. 호주에 낙타가 살다니, 저게 고슴도치가 아니고 두더지라니, 엄청 무섭게 생겼는데 독이 없는 거미라니, 같은 생각을 하며 생동감 넘치는 아웃백 사파리를 구경한다.

 



얼마전, 건조한 기후로 인한 자연발화가 지속된 끝에 호주 전역이 불타오르는 심각한 산불이 발생했다는 기사를 접했다. (이 책에서도 동식물들의 가장 큰 위협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라고 꼬집는다.) 당시 불을 끄던 소방관이 탈진한 코알라에게 물을 먹여주는 사진이 화제가 되었는데 그 사진 한장으로 다시 한번 희망을 품어본다. 사람과, 자연과, 동식물들이 평화롭게 공존하던 호주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 올 수 있기를, 다시 한번 아웃백을 뛰어다니는 캥거루의 모습을 눈에 담을 수 있기를, 유칼립투스를 천천히 씹어 삼키는 코알라를 올려다 볼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