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수업 - 지적이고 아름다운 삶을 위한
한동일 지음 / 흐름출판 / 201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라틴어하면 둘둘 말린 양피지 종이에 깃털 펜촉으로 무언가를 써내려가는 로마 귀족이 떠오른다. 이 때 글씨는 반드시 필기체여야 하고 그는 흔들거리는 불빛 아래서 황급히 전할 메시지를 쓰는 중이다. 어쩌면 영화 속의 한 장면이었는지도 모를 이 장면이 비록 영어였지만 한때 필기체를 열심히 연습하던 학창시절의 기억과도 맞물린다. 지금까지 그런 고상하고 품위 있는 감각만 남고 실체는 한번도 접해 보지 못한 라틴어. 고대 로마와 역사를 함께한 라틴어는 수많은 언어의 뿌리로만 남아있을 뿐, 로마의 영광처럼 이제는 사라진 언어다.   


<라틴어 수업>은 무려 바티칸 대법원 변호사이자, 신학, 법학, 철학, 언어를 두루 공부한 학자이자, 대학교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던 한동일 교수가 서강대학교에서 했던 라틴어 강의를 정리하여 펴낸 책이다. 제목만 들어보면 노잼의 향기가 물씬 나는데도 2017년에 처음 출판되어 41번이나 인쇄기를 돌릴 정도로 이 책이 베스트셀러인 이유는 무엇일까? 이제는 없어진 언어에 대해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라틴어와 아름다운 삶은 무슨 관계가 있지? 온갖 의심과 의혹을 거두지 못한 채로 책을 펼졌는데아뿔사아무래도 진짜를 만난 것 같다.


  책장을 넘길 때 마다 예고없이 울컥거리는 감정들을 수시로 달래야 했다. 신을 믿지도 않는 주제에 고해성사를 하는 기분이 되었다. 머리 속에 수없이 많은 고뇌와 절망과 고통의 순간들이 필름처럼 지나가는 동안 마음은 이미 통제 불능에 빠져 버리기도 했다. 이 책이 주는 위로는 생각보다 묵직했고 깊은 곳을 건드렸다. 다행히 아이들은 잠들어 있었고 난 눈가를 훔칠 생각도 잊고 식탁등에 의지한 채 꾸역꾸역 그러나 또박또박 이 책을 읽어나갔다.

 



아지랑이라는 단어가 억겁의 시간 속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을 생각하며 쉽게 포기하지 말고 시시때때로 그렇게 우리 마음을 보아야 합니다.

, 이제 봄날의 아지랑이를 보러 운동장으로 나가십시오. 공부한다는 것, 살아간다는 것은 우리 마음속의 아지랑이를 보는 일입니다. 그리고 이 단어가 원래 의미하는 대로 보잘 것 없는 것’, ’허풍과 같은 마음의 현상도 들여다 보길 바랍니다.

이것은 힘들기는 하지만 꼭 필요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p.35

 



실제 강의를 하듯 쓰여진 문체는 때때로 나를 어느 봄날의 강의실로 데려다 놓았다. 칠판에는 라틴어 문장이 씌여있고 고지식하게 생긴 교수님은 조근조근한 말투로 언어 보다는 종교를, 종교보다는 철학을, 철학보다는 본인의 삶을 들여다보라고 말씀하신다. 그 모든 학문들이 결국은 라는 한 우주를 가르키고 있다고, 나가서 운동장의 아지랑이를 보라고, 그 속에서 나를 찾으라고, 꼭 그렇게 하라고 첫 수업은 언제나 휴강인 <라틴어 수업>. 만약 내가 어렸을 때 이런 이야기를 해주는 스승을 만났더라면, 어학점수에 연연해 있는 우리를 향해 네가 어디로 가고 싶은지 알고 있느냐고 물어주는 어른이 있었더라면 내 인생이 조금은 달라졌을까?

 



책장 사이사이 빼곡하게 붙인 메모를 주르륵 훓어 읽어보면 누군가는 했던 이야기고 인문학 서적을 통해 흔히 마주칠 수 있는 그런 문장인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라틴어 수업> 이 책의 울림이 남다른 이유는 언어에 담겨 있는 시간의 무게 때문은 아닐까 싶다. 오랜 시간을 지나는 동안 정제되고 추려진 삶의 정수들이 저자만의 통찰과 선한 영향력을 거쳐 지금 시대의 사람들을 감동시킨다. 하나의 문장이 대중에게 위로와 감동으로 다가 오기까지 그가 기울였을 학문적 노력은 순수한 욕망 그 이상의 것이었으리라. 말로 잘 설명할 수는 없지만 생각보다 내 마음 상태가 나빴고 이 책은 생각 이상으로 위로가 되었다는 것만은 사실이다.

 



무엇보다 제가 말씀 드리고 싶은 것은 타인의 객관적인 평가가 숨마 쿰 라우데(최우등)라고 하지 않아도 우리는 숨마 쿰 라우데라는 존재감으로 공부해야 한다는 겁니다. 우리가 스스로 낮추지 않아도 세상은 여러 모로 우리를 위축되게 하고 보잘 것 없게 만드니까요. 그런 가운데 우리 자신마저 스스로를 보잘 것 없는 존재로 대한다면 어느 누가 나를 존중해주겠습니까?

우리는 이미 스스로에, 또 무언가에 숨마 쿰 라우데입니다.

p.74

 


새해부터 좋은 책과 인연이 닿는다는 것은 좋은 징조다. 그렇게 오늘의 기쁨을 만끽하는 것이야말로 카르페디엠에 담긴 진정한 삶의 자세 아닐까. 늘 곁에 두고 아껴가며 읽고 싶은 책이다.   

 


 

여러분은 자기 자신의 길을 잃지 않고 잘 가고 있습니까?

그 길을 걸으며 무엇을 생각합니까?

그 길 위에서 지치지 않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 길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p.2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