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 모서리에 머리를 부딪혀 죽은 사건
구라치 준 지음, 김윤수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표지부터 낭자한 피에 다소 하드코어한 미스터리 소설일까 싶어 지례 겁을 먹었다. 일본에서는 본격 미스터리 작가로 알려진 구라치 준이기에 더욱 걱정이 되었다. 난 아직 미스터리 초심자라 중간에 책을 덮어버릴 지도 몰랐다. 그런데 제목이 좀 독특하다. <두부 모서리에 머리를 부딪혀 죽은 사건>누구나 고개를 갸우뚱 하게 될 만한 문장이다. 사람이 두부 모서리에 부딪혀서 죽을 수 있나? 접시물에 코를 박고 죽는 일 만큼 어려운 일 아닌가? 아마 이 책을 다 읽기 전까지는 누구도 이 제목에 대한 물음표를 지울 수 없을 것이다.

 


p.116. 만약 그렇다면 우리는 이제 터무니 없을 정도로 거대한 광기와 맞서야 한다. 우리의 정신도 삼켜버릴 수 있는 엄청나게 크고 어두운 광기와. 나카모토 경부는 뭐라 형용할 수 없는 불안감에 또 다시 등줄기가 오싹해졌다.

- <파와 케이크의 살인현장 중>

 


<두부 모서리에 머리를 부딪혀 죽은 사건>은 총 6편의 단편을 모은 소설집이다. 표제작인 <두부 모서리에 머리를 부딪혀 죽은 사건>은 태평양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던 어느날 학도병으로 차출된 주인공이 나가노현의 극비 연구시설로 발령을 받게 되면서부터 시작된다. 2-13호 실험실에서 이유도 모른채 자전거 페달을 밟는 이즈카는 교대하기 위해 들어간 실험실에서 같이 근무하던 가게우라 이등병의 시체를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실험실은 완전한 밀실 구조고 사람이 드나든 흔적이나 흉기도 없다. 산산이 부서진 두부가 흩어져 있을 뿐전쟁 막바지, 가미가제로 젊은 병사들이 무수히 죽어나가도 제국주의라는 기치 아래 그 모든 죽음이 영웅시 되던 시기에 겨우 두부 모서리에 머리를 부딪혀 죽은 한 이등병의 시체는 말 할 수 없는 아이러니를 불러 일으킨다. ‘구라치 준식의 블랙코미디란 이런 것인가.


 

 p.157 앞으로 쓰러진 시체와 그 주변에 흩어진 두부. 게다가 시체의 후두부는 사작물체의 모서리로 구타한 상처가 있었다. 아무리 봐도 두부 모서리에 머리를 부딪혀 죽은 것으로 보인다. 194412월 초순. 제국 육군특수과학연구소 2-13호 실험실에서 일어난 일이다.

 - <두부 모서리에 머리를 부딪혀 죽은 사건 중>

 

 

 

 

 

 

불안을 안고 첫 장을 열었으나 결국 내가 중간에 책을 덮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분위기는 어두웠으나 이야기는 가벼웠고, 사건은 복잡하게 얽혀있으나 결론은 심플했다. 게다가, 살인이라는 하나의 사건을 가지고 연쇄살인, SF, 인공지능, 태평양전쟁, 시골집 고양이까지 아우르는 작가의 이야기에 흠뻑 매료되었다. 같은 살인이지만 풀어내는 방식은 너무도 각양각색이라 이런 미스터리 소설도 있구나 하며 순식간에 읽어버렸다. 각 단편마다 전혀 다른 분위기를 유지 할 수 있다는 점이 특히 놀라웠다. 그 중에서도 <밤을 보는 고양이>, <사내편애>가 가장 놀라움을 주는 단편이었고 마지막 <네코마루 선배의 출장>은 이 작가의 네코마루 시리즈를 찾아 읽고 싶어지게 만드는 흥미진진함과 재미가 있었다.

 


두부 모서리에 부딪혀 죽어라는 일본의 라쿠고에서 인용된 말로 농담을 농담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고지식하기가 이를데 없는 사람을 빈정거리는 말로 사용된다. ‘에라이, 두부 모서리에 머리 부딪혀 죽을 놈아정도로 사용되려나구라치 준이 선사하는 반전은 어이없을 정도로 간단한 해답 (바카미스:황당한 트릭이나 논리의 미스터리)을 핵심으로 하는데 이 책의 제목이야 말로 그 핵심을 찌르는 듯한 명징한 문장이 아닐까 싶다. 이쯤되면 작가의 목소리가 들리는 것도 같다. ‘고정관념에 사로잡혀서 그래. 잘 들어, 더 유연하게 생각해보자.(p.308) 그렇게 딱딱하게 굴지말고 상상의 나래를 펼치라고!’ 유머와 위트를 잃고 사는 현대인들에게 보내는 반전 메세지가 흥미로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