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머리 앤을 좋아합니다 - 초록 지붕 집부터 오건디 드레스까지, 내 마음속 앤을 담은 그림 에세이
다카야나기 사치코 지음, 김경원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맨 처음 빨간 머리 앤을 알게 된 것은 어릴 적 일요일 아침마다 해주던 TV 만화 영화를 보게 되면서 부터다. 아지랑이 같던 사과꽃 길이나 자작나무 숲, 초록 지붕집, 병에 든 우유 같은 것들에 로망이 생긴 것도 만화영화의 이미지가 컸다. 그때가 아마도 <빨간 머리 앤을 좋아합니다>의 저자 다카야나기 사치코와 비슷한 나이였을 것이다. 작가는 원작 소설을 통해 앤을 처음 만났지만 난 만화영화라는 점이 다르다면 다른 점이다. 하지만 내가 만약 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원작을 먼저 접하게 됐다 해도 이렇게까지 앤을 사랑하게 될 수 있었을까? 이 부분은 조금 미지수다

 

<빨간 머리 앤을 좋아합니다> 이 책의 저자와 나의 감수성은 제법 잘 맞는 것 같다. 만약 에이번리 풍경의 아름다움, 길버트의 소년적 사랑, 마릴라 아주머니와 앤의 갈등에 대해서 대화를 나눈다면 밤이 새도록 할 얘기가 넘칠지도 모른다. 하지만 반대로 내가 전혀 주목하지 않았던 부분도 있는데 그건 바로 깔개와 산사나무에 대해서다. 그건 아마 원작에서 자주 등장하던 소재일 테다. 책의 말미에는 몽고메리의 다른 작품들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그녀의 작품 세계 전체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는데, 이쯤에서는 대충 읽고 넘어간 원작을 다시 한번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 파도처럼 밀려온다.

 

 

 

이 책에도 앤의 주옥 같은 대사들이 많이 나오지만 <빨간 머리 앤>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말은 다이아나와 앤이 주고받던 그 수 많은 쪽지 속에 있다. 너의 친애하는 벗 앤 셜리로부터 라는 문장에 홀딱 반해 그 시절 친구들과 주고받던 쪽지들 말미에 이름만 바꿔 저 문장을 써 넣었다. 당시만 해도 친애하는이라는 단어가 얼마나 고급스럽고 낭만적으로 들리던지  

 

글 중간중간 저자는 빨간머리 앤을 번역한 역자에 대단한 존경과 각별한 애정을 표현한다. 역자를 통해 처음 만나게 된 앤에 대한 애정으로도 읽혀진다. 나에게도 앤을 떠올리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것이 있다. 바로 만화영화에서 흘러나오던 성우 정경애님의 이다. 지금도 눈을 감으면 성우님이 연기하는 앤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들려온다. 특히 앤 셜리를 발음하던 그 명료하고도 바람이 묻은 것 같던 목소리. 안타까운 사고로 더 이상 그 목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됐지만 내 마음속 은 영원히 그 목소리 하나로 기억될 것이다.

 

가볍고 친근한 문장이 봄 같은 책이다. 애이번리의 봄 풍경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삽화를 보면 더더욱 그런 느낌이다. 봄의 한가운데에서 저자와 앤 그리고 내가 한바탕 기분 좋은 수다를 떨고 헤어진다. 바람 속 꽃향기 같은 진한 여운은 봄 밤에 숨겨두기로 한다.

 


p.73

메슈는 자기 의견을 그다지 표명하지 않지만, 때로는 깜짝 놀랄 만한 말을 해서 앤을 음악회에 보내주기도 하고 꿈꾸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가르쳐주기도 합니다.

, 너의 낭만을 완전히 버려서는 안 돼. 조금이라면 괜찮겠지. 물론 도를 지나치면 안 되고 말이야. , 조금은 낭만을 간직하는 편이 좋단다.”

이런 말을 해주는 어른은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