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국수 금지
제이콥 크레이머 지음, K-파이 스틸 그림, 윤영 옮김 / 그린북 / 201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투명한 멸치 국물에 노오란 계란 지단이 얌전히 올려진 잔치국수는 우리 집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메뉴다. 외식이라도 할라치면 돈까스도 아니고 스파게티도 아닌 국수를 찾는 아이들이 별스럽다. 아무리 생각해도 간만의 외식 메뉴로는 소박함이 지나쳐 썩 내키지 않는데 말이다.

   <오늘부터 국수금지>, 그런 이유로 아이들은 이 책의 제목만 읽었는데도 불의를 참지 못하는 투사처럼 분노했다. “말도 안돼 국수가 금지라니…” 주인공 국수광코끼리 만큼이나 볼멘소리를 하는 아이들의 반응이 재미있어 나도 모르게 책장을 넘기는 손이 빨라진다.


루마을에 사는 코끼리는 국수를 좋아한다. 국수광코끼리는 종종 이웃 친구들과 국수잔치를 열곤 했는데 법 만들기 좋아하는 캥거루들은 어느날 국수는 캥거루만 먹을 수 있다는 법이 있으니 더 이상 국수는 금지라고 말한다. 법이 공평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한 국수광코끼리는 고민끝에 밀가루 대신 여러가지 물건을 국수로 만들어 내는 만능국수기계를 만든다. 다시 국수를 먹을 수 있게 된 코끼리와 친구들은 잔치를 벌이고 이를 알게 된 캥거루들은 코끼리를 감옥에 가두고 유죄를 선언하는데

 

 

 

이 책을 읽으며 법, 정의, 공평, 민주주의 같은 단어들을 아이들과 생각해 본다. 어려우니 그냥 두리뭉실하게 흘려듣는 수준이어도 괜찮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이들이 생각하는 원초적인 것들이 결국은 가장 본질에 가깝다는 생각도 든다. “공평이라는 건 친구들이랑 사탕을 나눠 먹는 것처럼 똑같아야 해라고 이야기 하는 큰 아이의 말에 고개를 끄덕여 본다. 캥거루들의 행동이 공평하지 않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야 말로 정의그 자체가 아닌가 하고코끼리와 친구들이 벌이는 소소한 소동들이 실은 불공평을 공평하게 만들려는 바로 그 정의’였다고...

 

 

요즘 사회적인 이슈가 되는 문제들은 일부 특권층에게 모든 법이 공평하게 작용하지 않는 것에서 비롯되지 않았나 싶다. 불법을 저질러도 그들의 특권으로 무엇이든 무마할 수 있다고 믿는 오만함이 마치 법은 우리만 만들 수 있어.”라고 외치는 캥거루들 같다. 정의란 무엇일까? 정의와 공평의 의미가 사라진 법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 정의롭지 못한 것에 대해서 국수광코끼리처럼 용감하게 외칠 수 있을까? 우리는 저 캥거루들과 화해할 수 있을까?

이야기가 좀 무거워 졌지만 <오늘부터 국수금지>가 무거운 그림책은 아니다. 오히려 재미있는 쪽에 가깝다. 루마을에 얼마나 다양한 이웃들이 살고 있는지, 만능 국수 기계가 뭘로 국수 면발을 만드는지, 국수광코끼리와 친구들이 얼마나 용감한지 읽다 보면 비교적 두툼한 책도 금방 끝이 난다. 물론 나는 아이들의 성화에 못이겨 저녁은 국수를 끓이는 신세가 됐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