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여름 가을 겨울 - 꽃과 잎이 그려 낸 사계절 이야기 꽃잎과 나뭇잎으로 그려진 꽃누르미
헬렌 아폰시리 지음, 엄혜숙 옮김 / 이마주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야흐로 봄이다. 미세먼지 덕분에 어느 계절에 와 있는지도 혼미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무 틈마다 새순이 움튼다. 그 작은 푸른빛은 희망이기도 해서 뿌연 하늘 밑에서도 꽃들이 넘실대는 완연한 봄을 꿈꾸게 해준다. 샘 많은 추위도, 목이 턱 막히는 미세먼지도 그 희망의 빛들을 모으며 견뎌낸다. 그리고 때때로 봄을 닮은 아름다운 책을 보며 버티기도 한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은 꽃의 아름다움을 박제하여 사계절의 장면들을 드라마틱하게 표현해낸 책이다. 꽃과 나뭇잎 같은 식물들을 말려 수분과 공기를 제거하는 전통적인 꽃누르미(압화) 방식으로 보존한 다음, 작가의 스케치에 맞춰 배열하는 순으로 제작되었다. 실제 책을 보면 말린 식물들로만 표현했다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섬세한데다 유려하고 풍부한 패턴들이 눈을 뗄 수 없을 없을 정도로 화려하다.  

 

 

 

은 생동하는 기운으로 꿈틀대는 자연의 요소요소를 세심하게 담았다. 노래하는 새들, 움트는 식물들, 들판을 뛰어다니는 산토끼, 개구리와 오리 가족, 꿀이 넘치는 꽃과 나비들이 다채롭게 펼쳐진다. ‘여름은 모네의 그림을 잠시 상상하게 되는 밀밭과 양귀비꽃들, 풀숲의 곤충들, 여름밤의 사냥꾼들이 뜨거운 여름을 떠오르게 한다. ‘가을은 가을색으로 변하는 나뭇잎들, 색색의 열매와 버섯들, 이동하는 철새들이 겨울을 준비하느라 분주하고, ‘겨울은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과 겨울을 나는 식물들, 혹독한 추위에도 살아남으려는 몸짓들이 다음 봄을 기다린다.   


눌러 말린 꽃들이라 생화의 빛깔보다는 채도가 낮다. 채도가 낮으면 탁하다는 느낌이 들게 마련인데 어쩐일인지 이 책은 수채화처럼 맑다. 물감은 한방울도 쓰지 않았는데 마치 붓으로 그린 것처럼 부드러운 터치감도 느껴진다. 이렇게 섬세한 표현을 하기까지 작가의 수고로움이 눈에 보이는 것만 같다. 그래서 더 천천히 들여다 보게 된다. 오리가 지나간 자리나, 왜가리의 벼슬, 토끼의 귀끝 같은 것들을계절의 감각을 더듬는 기분으로 천천히 음미하는 즐거움이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