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없는 인간 - 팬데믹에 대한 인문적 사유
조르조 아감벤 지음, 박문정 옮김 / 효형출판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르조 아감벤은 이탈리아의 철학자, 비평가, 미학자로 신학적이며 철학적인 독특한 문체로 전 세계에 주목을 받고 있는 학자 중에 한명이다. 마르틴 하이데거, 발터 벤야민, 미셸 푸코의 영향을 주로 받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 책에서는 한 챕터를 할애해 하이데거의 사유(세계-내-존재, 현사실성, 현존재, 두려움 등)들을 언급하며 치환할 수 없는 인간의 존재에 대한 가치의 중요성을 이끌어 낸다. 부제목인 ‘팬데믹에 대한 인문적 사유’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1년 이상 지속되는 코로나19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회·정치적인 문제에 대한 담론으로 구성되어 있는 책이다. <얼굴 없는 인간>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는 가장 철학적 의제는 아래의 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디지털 메시지만 오가고, 가능한 한 기계가 인간 사이의 모든 접촉, ‘모든 전염’ 가능성을 대체해 버렸다.” <얼굴 없는 인간> p42

결국 접촉의 상실은 잠재적인 바이러스 전파자로써 관계의 분열을 초래하고, 이는 바이러스가 나라의 정치적인 도구로써 선동될 수 있다는 이야기로 점철 된다. 이 두가지의 차원을 아감벤은 염려하면서 글을 써내려 가기 시작한다. 그의 물음에는 인간의 존엄성, 인간의 자유, 정치의 범위 등이 요청된다. 자유를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가? 방역을 어긴 이들에게 어떠한 법적 조치가 이뤄져야 할까? 이는 사회 시스템하고도 결부되어 있다. 그는 현 시대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결합 된 형태로 인간의 존엄성을 마음만 먹으면 박탈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고 말한다. 자본이라는 경쟁이 형성하는 인간의 얼굴이란 건 표정 없는 기계화 된 얼굴처럼 보인다. 키케로의 말과 같이 인간의 얼굴은 성격을 표상한다. 그러나 이제 마스크가 잠식해버린 인간의 표정은 부속품에 불과하다. 무의식적으로 발화하는 표정을 포착할 수 없게 된 인간은 소통의 절멸을 경험한다. 

“공동체의 즉각적이고 세밀한 지침을 따라 직접적인 메시지만 교환할 수 있다. 더 이상 얼굴 없는 이름으로” <얼굴 없는 인간> p148

그러나 나에겐 의문이 든다. 아감벤이 말하는 ‘자유’라는 것은 얼마나 광범위한 구술로써 받아들여 질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개인의 자유’와 ‘공동체의 안위’의 가치의 무게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느냐는 물음이다. 구체적으로 논술할 수 없는 부분이다. 왜냐하면 아감벤은 ‘인문학자’이지 과학자, 의학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통계와 사례들은 축적되어 가고 있으며, 각 나라마다 코로나에 얼마나 현명하게 대처를 했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상황을 고찰하게 되면 아감벤의 글들은 그렇게 유효하지 않은 것처럼 느껴질 때가 종종 있었다. 

물론 그가 자신이 바이러스학자도, 의사도 아니며, 윤리적, 정치적 변화에 대한 관심만을 내비쳤지만, 안타깝게도 아감벤의 <얼굴 없는 인간>은 나에겐 인간의 존엄만을 위시한 공허한 외침으로 읽혀졌다. 아무래도 그가 코로나로 인해 범국가적인 침체를 극복할 수 있는 긍정적이고 실제적인 대안을 제시하기보단 이로 인해 발생하게 된 사회적·정치적·문화적인 결핍을 아감벤의 사유의 틀 안에서 설명하기 위해서 그러한 것 같다. <얼굴 없는 인간>을 통해 아감벤이 말하고 싶었던 것은 결국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를 말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그렇다면 이 책은 성공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