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을 범하다 - 서늘하고 매혹적인 우리 고전 다시 읽기
이정원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만약 당신이 이제까지의 전래동화나 여러 근원설화를 보면서 긍정적인 인식과 옳고 바른 교훈만을 주제로 뽑았다면 이 책 앞에서 충격을 금치 못 할 것이다.
전을 범하다
여기서 전은 傳(전할 전)으로 오래전부터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오는 이야기들을 말한다.
물론, 흔히들 말하는 '권선징악' 이 주제로 손꼽히는 장르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장르에서 밝은 면, 또는 희망과 긍정의 메시지를 찾으려고 한다. 왜냐면 지금까지 작품들이 오로지 '밝은 면, 희망과 긍정의 메시지' 만을 말했기 때문이다. 그 안에 숨겨진 또 다른 메시지는 철저히 가려져 왔고 일종의 금기나 담으면 안 될 것으로 치부되어 왔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전을 범하다' 는 무엇인가? 이제까지의 단지 옛날 소설, 권선징악이란 주제뿐인 고리타분한 이야기를 노골적으로 범(犯)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전(傳)에 대해 일관적인 생각만 품고 있었던 우리들에 대한 일종의 경고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심청전이나 춘향전, 장끼전과 장화홍련전 등, 옛 사상에 빗대보아 '효' 와 '배우자, 자식들에 대한 덧없는 사랑' 등 지극히 교훈적이고 뻔한 결말에 다다르는 동화들에 대한 모순. 한마디로 비하인드 스토리와 같은 숨겨진 면면을 담고 있다. 한마디로 전을 범하다는 권선징악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그런 권선징악을 믿고 따르는 우리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작품이다.
그 예로, 심청전에선 젊디젊은 처녀를 단지 미신 하나만으로 희생시키는 혼란과 무질서가 있으며 장끼전에선 부부간의 불신과 수치스러운 욕정을 엿볼 수 있다. 이 '은폐된 요소'는 과거이나 현재이나 쉬쉬되기 일쑤인 금기와 다름없지만 '전을 범하다' 는 그것을 다루고 있다. 오히려 사회에 만연하다는 양, 떳떳하고 당당하게 들어내고 있다. 도덕의 몰락과 위법의 범법화인 '권선징악' 의 가면을 송두리 채 벗겨냈다고 밖에 볼 수 없는 짓이다.
필자는 이 작품의 표지를 보고 섬뜩했다. 전을 범하다. 대체 무엇을? 그 의문은 손으로 눈으로 그리고 머리로 퍼져갔다. 결국 마지막 페이지에 다다른 순간, 그야말로 '재발견' 이란 단어 밖에 생각이 나지 않았다. 이 얼마나 어리석은 모습인가? 수십 년 동안 믿고 받아들여 왔던 사실들이 단지 3시간 만에 박살이 나버리다니. 작가의 농간에 경의를 표하며 글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