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이 든다는 것에 관하여
베레나 카스트 지음, 김현정 옮김 / 을유문화사 / 2024년 8월
평점 :
[나이 든다는 것에 관하여]
감상평: 아 이 책도 이러네… 온 세상 사람들이 다 읽으면 좋겠다 정말로.
TMI: 나는 을유문화사 책을 좋아한다. 탁월한 번역 때문이다. 표제부터 심상치 않았는데, 역시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클라스다 .
이 책은 한문장 읽고 생각하고, 한문장 읽고 멍해지고, 한문장 읽고 엄마를 떠올리고,
별 헤는 밤 같은 이야기였다.
(자꾸 주장하는 글쓰기처럼 결론 지어버리니.. 스포를 피할 수 없다)
.
우리 모두 늙는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점점 의존적으로 변화하고, 질병이 생기고, 쇠약해진다.
그 무력감이 수치스럽게 느껴지는게 일반적인데, 그러지 말자고- 사실 그거 아니라고 화자는 당당하게 말한다
“이처럼 잃는 것이 많다고 해도 노년기에 놀라울 정도로 젊은 시절만큼 행복감을 느끼며, 때로는 행복감을 더 느끼는 경우도 있다.”
왜 그걸 수치로 느끼는지- 자연스러운 일로 받아들이려면 어떠한 태도로 살아야하는지, ‘더’행복할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차근차근 설명했는데 가장 주목할 덕목이 바로 “유연성”이었다.
“
노년기의 유연성이란 ‘의식적인’ 유연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은 약점과 부족함을 참작하고 완벽주의와는 거리를 두며, 필요한 경우 양보하고 넘어질 위험을 감수하고, 확실하게 더 탄탄한 발걸음을 찾도록 해 준다. 또한 이런 유연성을 갖게 되면 삶 속의 다양한 변화를 침착하게 받아들이면서도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
본문25쪽
나이가 들수록 내게 쌓인 데이터는 연륜이라는 이름으로 나를 완고하게 만들고,
안다는 것, 즉 통제할 수 있는 것들 안에서 살고 싶어한다.
몸 사리게 된다는 거다.
.
유연함 즉 창의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면
영원한 것은 없고 모든 것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되고,
그럼 어찌할 수 없는 변수가 던진 어퍼컷에 타격감은 줄어든다.
(사실 이건 어떤 세대에게나 중요한 삶의 태도이다)
다만 노화에 의한 ‘포기’가 아니고, 불안에 의한 회피가 아니다.
유연하다는 건 진짜 강해진다는 것이다.
.
한편으로 나는 참 쉽게도 노년기를 ‘일반화’해버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40을 바라보는 나이에도 여전히 나는 내 자신이 너무 아이같다고 생각하는데,
나에 대한 정체성이 이렇게 일관되는데,
그렇게 따지면 80이 되어도 나는 내가 생각하는 어르신들 같은 모습이 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그렇다, 노년기는 그들만의 것이 아니다. 지금 시시각각으로 다가오는 멀지 않은 우리의 미래다.
노화를 나의 것으로 받아들이게 되면
이야기는 결국 클라이막스로 치닫는다.
인생의 종착점인 ‘죽음’을 빼놓을 수 없다.
“자신의 죽음에 아주 천천히 익숙해지는 것이 노년기의 발달 과제”(115쪽)라고 이야기한다.
루돌프 알렉산더 슈뢰더의 시가 와닿았다.
“
“늙은 나에게는 놀라운 일이다.. 나는 많은 것을 잊어버렸고 새로운 것을 배워야 한다. 이제 시간이 되었다. 밤과 그 별들과 친구가 되어야 할 시간이”
자신의 죽음에 익숙해짐으로써 삶의 특별한 순간들, 이를테면 봄에 느낀 기쁨, 오래전에 겪은 강렬한 경험에 대한 기억 등을 다시 감정적으로 강렬하게 느낄 수 있게 된다.(중략) 모든 상실에도 불구하고 ‘노년기에 긍정적인 감정이 부정적인 감정을 능가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116쪽)
죽음을 터부시하면 아까 말한 완고하고, 소심하고, 몸사리는 노화를 피할 수 없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위해 무엇보다도 자신의 인생 이야기와 접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조금 구체적으로 방법을 설명했는데,
특정 주제를 가지고 회고 작업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처음으로 돈을 벌었을 때 어땠는가? 위기의 순간에 내 모습은 어땠는가? 나의 주변 사람들은 어땠는가?” 등 이런저런 상황들을 최대한 생생하게 재현하며 서로 이야기하게 하는 것이다. 많은 이야기를 하는 과정에서 화자는 죽음과 덧없음을 마주하게 되며, 이것은 또한 우리에게 좋은 일을 베풀어준 사람들에 대한 감사함을 일깨워 줄 수도 있다.
대화할 수 있는 소모임을 권장하는데, 중요한 것은 처음부터 서로 다정한 시선으로 바라보며 분위기를 만들어 줘야한다고.
그러면 공동으로 삶을 돌아보는 과정에서, 잊힐 위기에 처했던 보물 같은 기억의 접점들이 수집된다고 - 이야기한다.
천천한 그 과정이 얼마나 아름답게 느껴졌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책을 읽고 나와의 채팅에 급하게 썼던 문장은 “아빠 궁금해하기”였다.
갑자기 슬럼프라며 전화해온 아빠가 떠올랐다.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이 얼마나 있던가-
내가 아빠를 위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다가- 매일 전화하며 내 이야기 좀 그만해야겠단 생각과
아빠가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질문을 만들어야겠다 생각했다.
.
노화는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일이구나.
하지만 그 과정이 자연스러워지려면 정말 노력이 필요하다. 왕도 따위는 없다.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작업이다. 매일 이별하는 자세로 살아갈 때, 어떤 미련도 헛된 기대도 없이 내 삶을 온전히 살아갈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