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즈, 세상은 크기로 만들어졌다 - 세상 모든 것의 성장과 한계, 변화에 대한 새로운 통찰
바츨라프 스밀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 그대로 눈이 있는 한 우리는 세상의 <size>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좋든 싫든 우리는 크기를 기준으로 촘촘하게 정해진 세계에서 살아간다. 어디를 살피든 하다못해 우린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자급농과 물물교환하는 가구를 어떻게 집어야 할지 규칙을 마련해야 한다.(17쪽) 어떠한 규칙이든 분류든 표준을 인식하고 있을 때 작동한다.
작가는 <크기>를 기준으로 세상을 설명한다. 이건 미시의 세계부터 거시까지 아우른다. 미시든 거시든 크기를 말하는거잖슴?
걸리버가 크기의 현실과 대사(몸의 대사)스케일링의 복잡성을 드러내는 이야기를 끌어낸다. 걸리버 정도의 키와 몸무게라면 후이늠의 몸무게는 어떠했을지, 그렇게 복잡스런 인체구조를 가지고 작아진느 것은 가능한지 하나하나 따져본다(털썩)
또 앨리스는 착시라는 현실적인 세계(N의 확신의 세계) 에 들어가는 입구를 제공한다. 크기 하나로 세상을 설명할 수 있을까?

작가는 <size>를 통해 우리가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깨닫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했지만, 읽을 수록 이 사람은 모르는게 있을까 싶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스케일의 지식, 빠진걸 찾는게 어려울 정도로 세상을 총망라한 스펙트럼에 기함했다.
이 책을 읽는 건 어렵지 않은데, 왜 이렇게 오래 걸렸냐면-
책 읽을 때마다 “야야, 내가 재밌는거 알려줄까” 하고 곁에 있는 사람에게 말거는 걸 참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흔히 들어본 세상의 들쥐 개체수는 보존된다는 이론, 종아리가 짧으면 심혈관질환 확률이 올라간다는 썰, 집게손가락과 약지손가락 길이 차이에 남성호르몬 차이가 생긴다는 썰, 아름다움에 대한 우리의 인식, 황금비율의 모순까지 지금 대충 생각나는 것들만 적어봐도 이렇다.
엄청난 정보를 제공한다.
-
저상대성장 스케일링의 주요 기관은 눈이다.. 클 뿐 아니라 해부학적으로 긴 눈을 지니면 추가적인 혜택이 있다. 각막과 망막의 거리가 멀수록 맺히는 상의 크기가 더커지고 그러면 먹이를 찾고 포식자를 피하는데 더 유리하다. 맹금류는 시력이 아주 좋다고 잘 알려져 있다. 사람이 1.2미터 떨어진 곳에서 볼 수 있는 것을 독수리는 6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볼 수 있다. 또 색깔을 더 선명하게 보고 자외선까지도 감지할 수 있다 - 228쪽
-
책을 읽으면서 기시감이 들었는데,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과 토드 로즈의 <평균의 종말>에서 읽었던 내용도 꽤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 책을 읽을 때도 천재 오브 천재라고 생각했는데, 이 사람 바츨라프 스밀은 그걸 훌쩍 뛰어넘는다.

저자는 “이 파악하기 힘든 질서를 탐구함으로써 배운 교훈은, 우리 은하의 별다른 특징 없는 항성계 중 하나에 있는 작은 행성에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적 문명으로서, 우리 존재의 본질이 얼마나 허약한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끔 해준다는 것이다. ”(340쪽)라고 이야기했다.
.
아는 것이 많을 수록(나이가 들수록) 점점 경험치도 올라가고 어느 정도 ‘사이즈’가 나온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싯다르타처럼 “나는 다시 순수해질 수 없는 것인가”라는 오만한 고민을 했던 적이 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 엄청난 정보를 확인하며 “아 정말 나는 아는게 하나도 없구나”라고 뚜까 맞을 수 있었다.
정말로 아는 것이 많을 수록 겸허해진다는 것은 ‘몸사린다’는 말의 대체어가 아니었다. 안다는 것은 “내가 얼마나 모르는지” 알게 된다는 뜻이었다.
.
이 책의 클라이막스는 마지막, 1000개의 단어- 100개의 단어- 10개의 단어- 1개의 단어로 크기를 설명한 부분이다.
.
10
크기는 스칼라의 일종이며, 세상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만물 의 척도다.

1
Size
.
결국 이책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제공한다. (나를 지키는)무기가 하나 생긴 기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