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패러독스 1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 여름언덕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감한 제목이 눈에 확 들어오기도 했고, 이런저런 준비로, '읽었음을 알려야 하는' 책, 이 유난히 몰리는 때인지라, 더 팍, 꽂힌 책이다. 해보지 않고 무언가에 대해 말하는 것, 에 대해서, 그것도 단지 '짐작' 이나 '추측' 수준이 아닌, '안해봐도 다 안다' 식에 질색인 면이 다소 있는 나로서는, 참 무례하기 짝이 없는 작가의 작명, 이었다 싶지만, 한편으론 마치 무슨 비법을 혼자만 알수 있게라도 되는 양, 대출부터 은밀히 서둘렀다는 것. 작가는 사람들이 '비독서'에 가지고 있는 일종의 죄의식의 근거로, 이 사회에 존재하는 독서의 의무, 정독의 의무 그리고, 책들에 관한 담론과의 관계,를 언급한다. 수긍이 절대적으로 가는 대목이다. 더불어 비독서를 권장하는 텍스트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세상에서 비독서의 경험을 전달하는 일이 요구할 수밖에 없는 어마어마한 '용기' 를 발휘한 작가에 대한 자찬도 은근히 봐주고 넘어갈만 하다.

무엇보다도, 읽는이들을 위해 그가 작성해서 따로 올린 4가지의 약호가 압권이다. 이 책에 언급된 모든 책들에 적용되어 각주처럼 달려있는 그것은, UB(Unknown Book), SB(Skimmed Book), HB(Heard Book), FB(Forgotten Book) 을 말하는 것으로, 이들 약호는 이 책의 1부에서 정의한 '비독서의 방식들' 인 책을 전혀 읽지 않는 경우, 책을 대충 흟어보는 경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책 얘기를 귀동냥한 경우, 책의 내용을 잊어버린 경우, 각각에 해당되기도 한다. 판단하건데, 작가가 이 책을 쓰면서 인용한 여러권의 책들 대개가, 철저하게 비독서의 방식에 따라 이루어진 책읽기였다. 비독서의 방식으로 접한 책들을 사례로, 비독서를 설명하는 재치, 자신 스스로가 비독서의 방식 추종자임을 절대로 숨기지 않는 그 면모가 한박자 늦은 '박장대소'를 일으키게 할만큼 너무나 유쾌하더라는. 

무질, 의 소설 '특성없는 남자'에 등장하는 도서관 사서처럼, 책을 읽지 않는 아주 극단적인 방식인 '전혀 읽지 않는 경우', 어떤 책을 읽는 것보다는, 소장되어 있는 책들의 리스트만을 숙지함으로써, 책의 개별성을 넘어 그 책이 다른 책들과 맺는 관계들에 관심을 갖는 즉,  책들 전체에 대한 '총체적 시각'을 갖는 것의 중요함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고, 저명한 문학비평가인 폴 발레리, 의 경우, 그런 총체적 시각 외에 작품에게 저자란 그저 지나쳐가는 하나의 장소에 불과하다는 작품과 저자의 '분리'와 저자제거에 만족하지 않고 텍스트에서도 벗어날 것을 주장하면서 '책을 대충 흟어보는 경우' 를 몸소 실천했다고 전하고 있다. 폴 발레리, 란 사람은 흟어본 중에선 최고, 이지 싶게 무려 프루스트,와 베르그송, 에 대해서 '주옥'과 같은 평론들을 남겼으니, 이쯤하면, 그동안 나는 책을 헛읽었던가, 생각에까지 미칠 수밖에.

세번째의 경우, 어떤 책에 대해 누군가가 한 이야기를 듣거나 쓴 글을 읽은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대체로 공감할만한, '다른 사람이 하는 책 얘기를 귀동냥한 경우' 에 대한 이야기로서, 이 경우 책이 파생시키는 다양한 담론, 에서 결코 가벼이 볼 수 없는 지위를 가질 수 있다는 효능이 있음이 입증되고 있고, 마지막으로, '책의 내용을 잊어버린 경우'는 우리가 읽었지만 잊어버린 책, 읽었다는 사실조차 잊어버린 책을 과연 읽은 책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제기로 시작하여, 누구나 책이란 것은 읽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사실은 망각에 빠지게 되는 '비독서자'로 가는 과정을 겪고 있으며, 이는 궁극의 '탈독서'에 이를 수 있는 경지에 다다르는 시작임을 조심스레 선포하는 가운데 '어제 일도 나는 몰라', 망각이 날로 심해가는  나와 같은 독자들에게 참으로 황송스런 다독임도 주고 있는 것 같다.

이후 이어지는 2부에서는 사교생활, 선생님 앞, 작가 앞. 사랑하는 사람 앞, 과 같은 있을법한 담론발생의 상황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마지막 장인 3부에서는 부끄러워하지 말 것, 자신의 생각을 말할 것, 책을 꾸며낼 것, 자기 얘기를 할 것, 과 같은 그에 대한 대처요령, 그러니까 일종의 팁, 이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이 '못알아먹을까바' 조곤조곤 서술되어 있다. 작가가 '비독서' 에 대해서 대담하게 적어내려간 것을 귓등으로 들은양, 이 책을 그야말로 '정독'하자고 하니, 뭔가를 '거역'하는 것만 같아, 주어진 비독서의 방식 4가지 중, 가장 실현가능한 '대충 흟어보는' 비독서 방식을 차용해보았음에도 불구하고, 결론적으로 나의 경우는 궁극의 '탈독서'의 경지까지 오르지 못하고, 매번 읽는 책마다 메모를 달아놓았다던 몽테뉴, 처럼, '책의 내용을 잊어버리는 경우'만큼은 끝내 용납이 안되는 사람인 듯 이렇게 정리하고 기록하고 있다. 안하던 짓을 새삼 하기보다, '하던 대로 하고 사는' 것이 훨 수월하다는 것을 어쩔수없이 알게되버린 나이, 에 접어든게 맞는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나서의 후유증 하나를 들자면, 읽고 있는 여러 논문은 물론 간간히 접하는 신간서평 등에, 물증은 없지만 심증 백프로인, '비독서 방식' 추종혐의 의혹이 자꾸 보인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