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도둑 1
마커스 주삭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심히 살펴보지 않았던 탓에, 그저 한권이려니 읽었는데 맨 마지막 장에 이르러서야, '2권'이 또 있음을 알게되었다. 요즘은 하도 독자에게 심적 부담을 주는 '열린 결말'이 대세인지라, 그냥 이렇게 끝났어도 그닥 할말 없었을 것 같은데, 독자로서 살짝 까깝한 엔딩, 의 부담감을 덜어줄 2권이 이어진다는 것을 알고나니, 왜 이렇게 작가에게 '대접'받는 기분이 들고, 심지어 송구스러워지기까지 하던지. 역시 제 2차 세계대전과 뗄래야 뗄 수 없는 책. 이 책의 경우는 나로 하여금 그 시대엔 '안네' 만 있었던 것이 아니었구나, 싶은 생각을 갖게 한만큼 한핏줄 소설, 혹은 연관검색어로 '안네의 일기'를 올려놓아도 좋을 듯 싶다.

작가 마커스 주삭, 이 어린시절 부모님으로부터 전해들은 나치 독일, 의 이야기를 뿌리로 하는 이 책은 독일의 작은 도시 몰힝, 그리고 그 도시의 허름한 어느 거리 '힘멜'을 배경으로 한다. 힘멜, 의 '후버만' 부부에게 입양된 9살 소녀, 리젤 메밍거와 그녀의 가족, 이웃들이 하루에도 몇번씩 이어지는 폭격을 마치 해가 지고 뜨는 일상처럼 견디며 살아가는 가운데, 펼쳐지는 이야기. 이 이야기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이 책의 화자, 이다. 쉽게 말해, 우리 정서로 '저승사자'에 해당되는 화자,는 이를테면, '인류는 가끔 나의 일에 무지막지한 가속도를 요구한다 전쟁과 같은 일을 벌인다든지 하면서..' 와 같이, 전쟁이나 죽음에 대해 최대한 냉소적인 어투로 나레이션을 하고 있으며, 또 최대한 말을 아끼는 대신, 이야기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극명한 이미지를 자유자재로, '징글맞을만큼' 구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동생과 함께 입양되러 가는 기차 안에서 동생의 죽음을 목격하게 된 리젤, 동생을 묻을 땅을 파주러 따라온 묘지의 견습생이 두고 간 책 한권을 손에 넣게 된다. '무덤 파는 사람을 위한 안내서' . 그녀는 이제 책도둑이 되었다. 글을 아직 읽을 줄 몰랐던 리젤, 은 한없이 따뜻하고 다정한 양아버지 한스 후버만, 과 함께 매일 이 책을 조금씩 읽어나가면서 글을 깨치고, 말을 배우게 되고, 힘멜 거리의 사람들을 알아나가게 된다. 자우케를, 자우멘슈, 그러니까 우리말로 치면, '쌍욕'을 달고 살지만 남편이 유대인 친구의 아들을 데리고 왔을 때 아무말 없이 스프를 끓여내오던 양어머니 '로자 후버만', 그녀의 친구, 이자 첫사랑, 그녀의 첫키스, '루디 슈타이너', 리젤이 책을 보다 '잘' 훔칠 수 있도록 서재 창문을 항상 열어두었던 시장 부인, '일자 헤르만',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들 모두의 속죄양, 이었던 유대인 '막스 판덴부르크' 까지, 리젤과 그들은 전쟁의 참혹한 현실로 새겨진 서로의 상처를 때로는 덧내며, 때로는 보듬기도 하는 가운데 그 시절을 견디었으며, 마침내, 지하 공습대피소, 에서 리젤, 이 읽어주는 책을 들으며 평안, 을 찾았듯, 가장 참혹하지만 가장 평화로울 죽음을 기다렸고, 화자는 자신의 품으로 그들을 마침내, 하나씩, 안아올리게 된다.

아홉살의 리젤, 은 열네살이 될 때까지 약 여섯권의 책을 훔쳤고, 막스 판덴부르크, 가 만들어준 두권의 책과 일자 헤르만 부인이 선물한 한권의 '사전' 그리고, '줄만 그어진 책'을 가지게 된다. 이들 모두 열권의 책들은 책도둑 리젤,의 성장기를 묵묵히 함께 하였다. 공습이 하루에도 몇번씩 벌어지던 어느날, 막스 판덴부르크, 와의 추억이 서린 지하실, 에서 '줄만 그어진 책'에 그녀는 비로소 '리젤 메밍거의 작은책, 책도둑' 의 '집필'을 시작하게 되고, 그녀가 지하실에서 책을 쓰고 있을 동안 2층의 양부모님과, 그녀가 알던 힘멜 거리의 모든 사람들도 마침내 하나도 남지 않게 된다.

가장 먼저 만났으면서도 가장 늦게 그녀를 데리러 온 화자. 세월이 흘러 시드니에서 세 자녀와, 손자손녀, 그리고 남편이 지켜보는 가운데 그녀 '리젤'을 데리고 왔으며, 그녀의 유년시절, 인 힘멜 거리에서 잠시, 그녀를 내려놓고 책 한권을 건넨다. 열네살의 그녀가 지하실에서 집필하고 있었던작은 책 '책도둑'.  이 '저승사자'는 힘멜 거리의 모든 영혼을 거두던 그날, 거리로 뛰쳐나가 울부짖기만 하던 그녀 대신, 그녀의 책을 폭격더미 속에서 찾아 함께 거두었던 것이다.

공교롭게 전쟁을 배경으로 한  두권의 책을 읽게 되면서, 마음이 착잡해진다. 아마도 전혀 경험이 없다고 생각했지만, 같은 '전쟁'을 치루어야만 했던 우리나라, 라는, 그리고 그 나라에서 내가 태어나 살고 있다는 이유만으로도, 공감이 된 것이 아닐까 싶다. 그 당시 우리나라에서 벌어졌던 일과 차이가 없을 것 같은 이야기, 라 우리나라의 어딘가에도 분명, 또다른 할머니 리젤, 이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들고 말이다. 저승사자가, 힘멜 거리의 영혼들을 거두던 시절, 을 회상하며 스스로에게 했던 혼잣말, '그 엄혹한 시절의 한 복판에서도 사람은 이렇게 아름다움으로 피어날 수 있음을,, 나는 인류를 때로는 너무 과대평가했고, 또 과소평가했다..'가 지금의 착잡한 내 심정을 대신 해 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