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바꾸는 하버드 성공 수업 - 하버드에서 강조하는 성공을 위한 자기관리법
류웨이위 지음, 이재희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버드에서 강조하는 성공을 위한 자기관리법은 무엇일까?

하버드는 미국 정부의 싱크탱크로 불리며 전 세계부호들을 가장 많이 육성한 대학이다.

하버드에서 강조하는 자기관리 수업이 그들을 성공으로 이끌었다.

하버드 교육자들은 자기관리의 어려움을 인식했고 자기 감정과 행동을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훈련 과목을 개설하고 중점적으로 지도했다.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을 넘어설수있도록 엄격한 규칙과 제도도 만들었다. 학생들이 자신의 약점을 이겨내고 불패의 강자가 될 수 있도록 도왔다.

이런 정신적,육체적인 고도의 훈련이 하버드가 인재를 길러낸 비결이다. -프롤로그중-


저자는 24강으로 나누어 자기관리법에 필요한 기르기와 통제법을 하버드를 나온 유명인사나 교수의 실화를 통해우리에게 깨달음을 준다.

1강 자제력 기르기 - 자기관리에서 성공이 나온다

2강 자아발견 -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이지 마라

3강 환경적응 - 환경에 지배당하지 마라

4강 관성통제 - 다르게 생각하기를 즐겨라

5강 정서통제 - 감정의 주인만이 감정을 다스린다.

6강 욕망통제 - 욕망에 사로잡히지 마라

7강 충동통제 - 자기관리 시스템을 갖추자

8강 두려움 통제 - 나약한 자신을 마주하라

9강 완벽함 기르기 - 세상에 완벽한 것은 없다.

10강 불만통제 - 불만으로 자신을 불태우지 마라

11강 잠재력 기르기 - 보이지 않는 능력은 가늠할 수 없다.

12강 습관통제 - 좋은 습관 하나가 성공을 불러온다.

13강 실행력 키우기 - 우유부단함은 밑 빠진 독이다

14강 인내심 기르기 - 불굴의 의지는 자기관리의 불쏘시개다

15강 의지력 키우기 - 의지는 단련할수록 강해진다.

16강 독립심 기르기 - 독립투쟁은 역사에만 있는 게 아니다

17강 책임강 기르기 - 더불어 사는 아름다움을 피워라

18강 자신감 키우기 - 자신감에 대항할 적은 없다.

19강 감성지수 높이기 - 타인에게 영향력을 발휘하라

20강 관대함 기르기 - 좋은 사람 곁에는 사람이 모인다.

21강 포기하는 법 - 포기할 줄 아는 지혜도 기술이다.

22강 계획세우기 - 미래는 설계도에 따라 진행된다.

23강 시간관리 - 한정된 시간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라

24강 스트레스 대처법 - 스트레스 때문에 자제력을 잃지 마라

요즘 한창 빠져있는 생각의 틀을 깨라~! 나의 인식을 변화시키기에 몰입중이다.

자의식의 변화는 내아이에게 새로운 영감을 줄것이고, 십오년 후 내 아이가 한 직장에 매이거나 혹은 이력서를 들고 이리저리 쫒아다니며 안정된 직장을 찾으려는 아이가 되지 않기를 바라며,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자신만의 지식으로 기존방식과 융합한 새로운 일을 하길 원해서다. 그래서 픽업한 챕터는


4강 관성통제


다르게 생각하기를 즐겨라.


4강에서 챕터하나를 소개하자면,

원양서 한 척이 좌초되어 바다에 가라앉았다. 9명의 선원이 목숨을 걸고 헤엄친 끝에 외딴 섬에 올라 겨우 살아남았다. 하지만 섬에는 돌 말고는 배를 채울 만한 그 어떤것도 없었다. 쨍쨍 내리쬐는 햇빛 아래에서 물 한 모금조차 마실 수 없었다.모두 극심한 갈증에 시달렸다. 바닷물은 갈증을 해결할 수 없었으므로 오직 비가 오거나 구해줄 다른 배가 와야 했다. 선원들은 이 상황을 점점 견디지 못했고 8명이 목말라 죽었다.

마지막 남은 한명의 선원은 거의 죽어갈 무렵 도저히 참지 못하고 바닷물을 벌컥벌컥 들이마셧다.

그런데 바닷물은 짜고 떫은 맛이 아니었다. 오히려 달고 맛있었다. 그는 환각이 일어난 걸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가만히 누워 죽음의 신이 오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자고 일어났는데도 아직 살아 있었다.

그러다 마침내 구조되었다. 훗날 조사해보니 이곳은 지하수가 끊임없이 솟아오르는 지역이었다.

바닷물은 짜다ㅁ는 관념으로 도전 자체를 포기한 사람들의 운명이 안타까울 뿐이다.

관례나 관습, 고정된 사고의 틀을 깨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경험에 얽매여 변화를 거부하는 사람은 '관례의 노예'또는 '관례 숭배자'가 된다. 그들은 어려움을 불가능으로 여긴다. 하지만 세상의 모든 신문물의 탄생은 전례를 타파했기에 가능했다. p.62-63

지금 우리나라는 지식을 어떤것과 융합시킬것인가에 대해 고민을 한 사람들이 부를 가져가고 있다.

단순히 검색해서 나오는 정보 즉 지식을 가공해서 사람들에게 유용한 무언가를 창조해내는 사람들

단군 이래 가장 돈벌기 쉽다는 지금 시대라는 말은 이말을 두고 하는 말이다.

그러면 어떻게 정보를 가공해야 할까? 그 생각을 뒤집기 위해서 우리는 이런 자기계발서들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