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로사회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2년 3월
평점 :
현대사회는 바이러스의 퇴치와 기계문명의 발달로 인간들은 어느 시대보다
더 활동적이고 무한한 생산동력을 가지게 되었다.
"예스 위 캔"이란 말처럼 우리는 무엇이든 가능하고 무엇이든 될수 있다라는 인식을 어릴때부터
주입받아왔다. 부정성의 용어대신 긍정성이 최대의 선으로 자리잡은 이 시대는
정보시스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등 모든 시스템의 과잉적 포만상태에 이르렀으며
성과주의라는 모토 아래 인간은 생산성의 극대화를 위해 내재적 노예상태가 되어버렸다.
현대인들의 주요 신경증적인 징후는 우울증과 함께 소진증후군, 경계성성격장애, 주의력결핍장애로
대표된다. 이 질병들은 전염되는 바이러스가 아니라 긍정성의 과잉으로 바롯된다고 할 수 있다.
성과주체인 현대인은 외부로부터 노동을 강요받거나 착취당하지 않는다. 하지만 성과의 극대화를
위해 성과주체 스스로 강제하는 자유 또는 자유로운 강제에 스스로 몸을 던진다.
그렇기에 과다한 노동과 착취는 강제하는 느낌이 없기에 타자의 착취보다 더 효율적이다.
이러한 현상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확연히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가 가해자면서 피해자인
아이러니한 상황으로 귀결된다.
현대 문명은 평온함, 심심함의 결핍으로 인해 사색의 부재를 만들었으며, 이는 야만성의 시대로
이끌고 있다. 활동하는 자와 부산한 자가 이렇게 높이 평가받는 시대는 없었다.
따라서 관조의 힘을 기르는 교육이야말로 인간 성격 개조의 중요한 방법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현대 성과사회는 외적인 계급사회는 아니지만 인간을 내재적으로 스스로 착취하는 시스템을
교묘하게 만들었다. 정신적인 사유도 뇌의 기능이라는 프로그래밍적 용어는 인간을 노동하는
벌거숭이 생명으로 단순화시켰으며 이는 인간 스스로가 인간 존엄성을 해치는 결과를 낳았다.
과잉활동, 노동과 생산의 히스테리는 벌거벗은 생명에 대한 반응이며, 삶의 가속화 역시
존재의 결핍과 깊은 관계가 있다. 노동사회, 성과사회는 자유로운 사회가 아니며 지배없는
착취구조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강제사회에서는 저마다의 강제수용소를 달고다닌다.
우울증, 경계성성격장애, 소진증후군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은 나치 강제수용소의 수감자들과
비슷한 증상을 나타낸다. 현대 신경 질환을 앓고있는 현대인들도 일종의 나치 강제수용소의 수감자들과
다름없다. 단, 외형적으로 몸에 지방이 많고 영양상태가 좋은 점만 빼고 말이다.
한병철 교수의 피로사회는 나에게 정말 충격적이었다.
현대인의 우울증과 소진증후군 같은 심리적 질환을 다룬 책을 많이 읽어봤어도
이렇게 강렬한 느낌을 주는 책은 없었다.
긍정성의 과잉과 성과사회가 이렇게 인간을 피폐하게 만드는 것의 원인이라는 점도 충격이었다.
아니 충격을 넘어 공포에 가까운 감정을 느꼈다.
그리고 현대사회를 지배하는 모토, 무엇이든 할 수있다 라는 말이 이렇듯 무섭고 끔찍한
것인지도 새삼 깨달았다.
심하게 비유하자면 메트릭스에 갇혀있던 네오가 시스템을 벗어나 자신의 새로운 진짜 세계를
보는 경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성과, 실적만이 최대의 선이고 그 사람을 평가하는 도구가 될때 인간은 영원한 시스템의
노예이자 스스로를 학대하는 주체에서 영원히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성과주의를 넘어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다움을 회복하는 패러다임이 절실한 시기인 것 같다.
그 방법을 찾기위해서는 철학과 인문학의 중요성을 깨닫고 성과 대신 한 발짝 물러서
스스로를 관조하는 법을 가르칠 시기가 온 것이다.
지금 현대는 물질 문명이란 세계 아래 거대한 야만성이 가득한 정글 사회란 느낌이 들었다.
인간성을 회복하여 성과주체 대신 인간 본연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