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테랑의 몸 - 일의 흔적까지 자신이 된 이들에 대하여
희정 글, 최형락 사진 / 한겨레출판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된 리뷰입니다.


나에게는 이 책이 자신의 삶을 충실히 살아온 사람들에 대한 헌사처럼 느껴졌다.

『베테랑의 몸』은 기록노동자 희정 작가와 최형락 사진작가가 여러 분야에서 노동해온 12인의 ‘베테랑’들을 인터뷰한 기록이다. 동시에, 한 사람이 자신의 분야에서 ‘베테랑’이 되기까지 쌓아 온 시간, 삶 그 자체에 대한 기록이기도 하다.

책은 총 3부로 이루어져 있다. ‘균형 잡는 몸’, ‘관계 맺는 몸’, ‘말하는 몸’이 각 장의 제목이다. 인터뷰에 목소리를 내어주고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 사람들은 세공사, 로프공, 마필관리사, 안마사, 조산사 등 다양하다.

 

어떤 분야에서든 오래 일한 사람들에게서는 배울 점이 있다. 한 자리를 오래 지켰다는 것은 모든 일에 당연히 따라오는 고난과 좌절을 오래 이겨내었다는 뜻이고, 일을 하는 데 자신만의 기술과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책에 선뜻 목소리를 빌려준 사람들은 모두 자신만의 신념에 따라 묵묵히 자신이 맡은 일을 해 왔다. 돌아가는 기계 앞에서 힘의 균형을 찾고, 수십 미터 건물에 매달려 외벽을 청소한다. 수천 명의 식사를 책임지기도 하고 새 생명의 탄생을 돕기 위해 휴일도 새벽도 없이 달려가기도 한다. 그들이 서 있는 곳이 환한 조명이 켜진 무대가 아니더라도, 누군가 박수를 보내지 않더라도, 자신의 삶을 책임지고 꾸리기 위해 성실하게 일해 온 시간의 이야기를 듣는 일은 그 자체로 귀중하고 가치 있었다.

이쯤해서 묻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것은 한 사람이 살아온 시간이자 삶인데, 왜 ‘베테랑의 시간’이나 ‘베테랑의 삶’이 아니라 ‘베테랑의 몸’이 제목일까? 왜 ‘몸’을 기준으로 각 장을 나누었을까?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었다. ‘일의 흔적까지 자신이 된 이들에 대하여’라는 문구대로, 한 가지 일을 오랫동안 해 오다 보면 몸이 그에 맞게 변화하기 마련이다. 등장하는 ‘베테랑’들 역시 그들이 해 오던 일이 어떠한 형태로 몸에 남게 되었는데, 그것은 주로 질병에 가까운 형태로 나타났다. 척추가 휘어 걸음걸이가 망가지고, 손이 퉁퉁 붓고, 약품을 오랫동안 밟고 있으니 피부가 벗겨진다. 저자는 그것을 ‘영광의 상처’라며 찬사하는 대신 충분한 휴식을 취하거나 몸을 돌볼 겨를도 없이 일해야 하는 노동 현장의 가혹함을 지적한다.

이는 책을 더욱 신뢰하게 해 주는 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 인터뷰집이라 하나 그것을 받아적고 전달하는 이의 목소리는 필연적으로 들어가게 되는 법. 인터뷰이를 대하는 태도와 그들의 말을 경청하는 자세에서, ‘들어가며’, ‘인터뷰 후기’에서 드러난 저자 희정의 목소리에서, 그가 자신만의 신념과 윤리의식을 가지고 사람과 글을 대했음을 느낄 수 있었다. 그가 마주선 사람과 그의 육성을 존중하고 있다는 사실이 충분히 전해졌다. 그 덕분에 이 책을 읽는 시간이 더욱 귀중해질 수 있었다.

대부분의 일은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너무 보이지 않아서 때로 저절로 되는 일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그 뒤에는 언제나 자신의 삶을 다해 일하는 사람들이 있음을, 이제 그 노동자들의 ‘몸’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는 것을 비로소 깨달았다.


#베테랑의몸 #희정 #최형락 #한겨레출판 #하니포터 #하니포터7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