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사랑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민경욱 옮김 / ㈜소미미디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별은 어떻게 구분되는 것일까? 모든 인간은 남녀로 나뉘어지며 그것은 불변하지 않는 진리일까?

히가시노 게이노의 『외사랑』이 던지는 질문이다.

내게 남녀는 나 이외의 인간이에요.

다들 남자 아니면 여자로 나뉘어 있어요.

하지만 그게 다예요. 나누는 것에 의미 같은 건 없어요.

이 이야기는 대학 시절 미식축구부 동아리 회원들의 동창회에서 시작된다. 동창회가 파하고 돌아가던 니시와키 데쓰로는 귀갓길에 동창회에 불참했던 팀 매니저, 히우라 미쓰키와 만난다. 유능한 매니저이자 데쓰로의 첫사랑이기도 했던 히우라는 말을 하지도 않고, 무언가를 숨기고 있는 것처럼 행동한다.

그리고 마침내 히우라가 입을 열었을 때, 데쓰로는 귀를 의심하고 만다. 그 목소리는 완전히 남성의 것이었기 때문이다.

미쓰키는 말한다.

"나란 놈은 남자였어. 너희들과 만나기 훨씬 전부터."

그의 비밀은 그뿐만이 아니다.

"나, 쫓기고 있어. 내가 저지른 죄는 살인죄야. 사람을 죽였어."

이 고백을 기점으로 미식축구부 회원들은 사건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다.


이 소설의 주제는 '성별 이분법'이다. FTM 트랜스젠더인 히우라를 필두로 생물학적 성과 자신의 성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는 인물들이 여럿 등장하며, 두 성별을 모두 가진 인물도 등장한다. 히우라의 살인 고백으로 시작되는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이후의 전개, 반전 등의 요소는 고착화된 성별 고정관념, 성 정체성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작품을 통해 저자는 우리가 생각하는 성별이란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그동안 소외되었던 성소수자의 이야기를 전면적으로 내세운다.


『외사랑』 한국 번역본의 원래 제목은 『낮과 밤이 겹치는 순간에』였다. 정식 출간되며 원제인 『외사랑』이 그대로 선택되었는데, 훨씬 잘 어울리는 제목이라고 생각된다. '낮과 밤이 겹치는 순간에'가 더 시적이고 예쁜 제목이긴 했어도 책의 메시지나 내용과는 잘 매치되지 않아 의아하던 참이었다. '외사랑'이 책의 내용과 더 관련이 깊고 더 많은 함축을 전달한다고 생각한다.

『외사랑』은 1999년 8월 26일부터 2000년 11월 23일까지 '주간문춘'에 연재된 작품이라고 한다. 소재와 전개를 보고 비교적 최근 작품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20년도 더 된 작품이라니. 저자가 어디까지 내다보았는지 짐작이 되지 않는다. 당시에는 매우 파격적인 작품이었을 것이다.

저자의 고민과 상세한 자료조사가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책이 쓰여진 당시를 생각해 보면 상상하기 어려웠을 소재였는데, 어려운 소재를 가볍게 다루지도 않았고 현대의 독자인 내가 읽으며 새롭게 배우는 부분도 많았다. 아직도 사회적 성에 보수적인 일본 사회에 이 작품이 어떤 파란을 일으켰을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