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미숙 창비만화도서관 2
정원 지음 / 창비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니는 허벅지를 꼬집으며 모든 걸 인내하는 모습이었다."

 

창비만화도서관 두 번째 작품인 올해의 미숙이다저자는 만화가 정원.

 정원 작가는 단편 만화 노르웨이 고등어」 「삼점몇키로를 그렸고웹툰 플랫폼 코미코에서 만화 불성실한 관객을 연재했다청소년소설 옥수수 뺑소니에 그림을 그렸다올해의 미숙은 첫 장편 만화책이다.

 

?이 책은 평범한 사람인 '장미숙'의 평범한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지극히 평범해서그렇기에 서글픈 그런 삶.

 이 책은 아마 읽은 사람마다 감상과 의미가 모두 다를 것이다충분히 그럴 만한 작품이었다누군가는 더없이 지루했다 말할지도 모르고 누군가는 그 말에 장단 맞춰 주다가 남몰래 눈물 한 방울을 닦아 낼지도 모른다누군가는 미숙에게 도무지 공감이 안 간다고 할지도 모르고 누구가는 미숙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아무것도 담지 않은 것 같기도 한데 수없이 많은 것을 담고 있는 작품 같기도 했다사람의 삶이란 원래 그런 것이니까그래서 이 작품에 감상은 있을 수 있어도 비평은 별 의미 없을 것 같기도 하다.

 

"...아껴 줄 거면 끝까지 아껴 주지....

...씨이발."

 

책을 읽는 내내 상처투성이 삶을 어떻게든 보듬고 핥고 끌어안은 채 살아가려 노력하는 사람들에 대해 생각했다.

 처음부터 좋지 않았던 것과 좋은 것 같다가도 결국 나빠지는 것들에 대해서그러다 어쩌다 만나는 좋은 것들을 우리는 필사적으로 붙잡고 살아간다고.

 작중 미숙의 상황은 좋지 못하다가정적이지 못했던 아버지는 폭력을 휘두르고동경했던 언니 역시 미숙을 때린다미숙의 엄마 역시 다정한 사람은 아니고학교에서는 '미숙아'라고 놀림을 받으며 못생겼다는 폭언도 서슴지 않게 듣는다.

 도저히 잔잔할 수 없는 배경 설정인데도 잔잔하다 싶었는데작품 내내 미숙은 단 한 번도 울지 않았다는 것이 눈에 들어왔다.

 화나거나 슬프다는 듯 인상을 찡그리거나 얼굴을 붉히는 일은 있어도소리 내어 우는 모습하다못해 눈물만 뚝뚝 떨어뜨리는 모습조차 보이지 않는다한 번쯤은 크게 소리 내어 울거나 고함쳤어도 좋았을 텐데그럼 좀 시원해졌을 텐데그 많은 상처를 다 어떻게 안고 사나.

 후반부로 갈수록 미숙의 표정은 점점 더 고요해진다.

 

?나는 이 이야기가 '상처에 견뎌내며 사는 법을 배우는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작품의 화자이자 주인공인 '장미숙'은 어렸을 때부터 다 자라 독립을 준비할 때까지 계속해서 상처받기만 한다세상을 다 가진 것처럼 좋은 날도 있었지만 그것도 결국 상처로 남고 만다그런 상처들이 전부 지나가고미숙은 지금까지 그랬듯 태연하게앞으로도 상처투성이일 길로 걸어간다.

 작중 내내 미숙은 '미숙아'라는 별명으로 놀림을 받는다어쩌면 저 별명은 세상이 우리 모두에게 붙인 별명이 아닐까우리는 누구나 상처를 받는 데 미숙하다그걸 끌어안은 채 계속해서 살아가는 데는 더 미숙하다그런 우리에게 올해의 미숙은 이렇게 말하는 듯했다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계속 앞으로도 그렇게 살아가면 된다고좋은 일은 그날 여름의 햇볕처럼 쨍했다 겨울이 되면 사라지고여름이 되면 다시 쨍하니 인생을 비출 거라고.

 우리는 올해도 미숙하고내년도 미숙할 것이고계속해서 조금 더 나아지겠지만 언젠가 어느 순간에서 우린 분명 미숙할 것이다사람이란 원래 그런 것이니까.

 그럼 그 순간에 우리는 여전히 미숙한 채로조금 더 나아지면 되는 것이다.

 

"그동안의 일들이 먼 미래처럼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