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0호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뉴스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버릇을 들이게 되었어.

신문도 거짓말을 하고 역사학자들도 거짓말을 해.

오늘날에는 텔레비전도 거짓말을 해."


움베르트 에코 작가의 유작이자, 지금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가 꼭 읽어야 할 소설이기도 하다.

저자 움베르트 에코는 기호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미학자이자 교수였다. <장미의 이름>이라는 작품으로 유명한데, '우리 시대 최고의 지식인'이라는 이름답게 책 속 인물들은 예시를 들어도 매우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지식이 담긴 일화를 사용한다. 무솔리니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그것이 거짓이고 허풍이라는 것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데, 너무나도 자세하고 설득력 있다.

 

이 책의 첫 문장은 이렇다.

"아침에 일어나고 보니, 수도꼭지에서 물이 흐르지 않았다."

책이 무엇을 다루고 있는지 대충 알고 있는 나로서는 참으로 의아했다.

뒤표지에 가짜 뉴스를 다룬다고 되어 있으면서 갑자기 웬 수도꼭지?

다음 전개를 궁금해하면서 페이지를 넘겼다.

그리고 이 첫 문장에서부터 자연스럽게 주인공의 독백으로 넘어가고, 이야기에 빠르게 몰입하기 시작했다.

 

대필 작가로 일하는 '콜론나'는 어느 날 '시메이'로부터 대필 의뢰를 받는다.

콜론나가 대필해야 할 것은 어느 회상록. 어떤 정체불명의 신문에 대한 회상록이다.

의뢰자는 말한다. 그 신문은 창간되지 않을 신문이라고.

이 신문은 정계 인사들의 비리를 까발리는 신문이 될 것이고, 신문의 존재가 알려지면 그들은 불안에 떨며 자신의 주인에게 뇌물을 바치게 될 것이라고. 그리고 자신의 주인은 그것을 이용해 상류사회로 들어가는 것이 목표라고 말한다. 그러니 이 신문은 발간되기도 전에 폐기될 것이고, 대중들에게는 어떤 비판과 압력에도 굴하지 않으려 했으나 결국 패배하고 말았다는 인상을 심어 줄 수 있을 것이라 말한다.

 

줄거리부터가 매우 흥미로웠다. 어디에서 이런 내용을 찾을 수 있겠는가. 흥미를 확 끌어당기면서도 앞으로의 전개를 궁금하게 만드는, 훌륭한 도입부였다.

신문이 창간되지 않는다는 것은 콜론나와 의뢰인만의 비밀. 본격적으로 신문을 위한 기자단을 꾸리기 시작한다. 그렇게 모인 기자들은 하나같이 자신들이 '실패자'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시메이의 주도 아래 신문에 실을 기사를 어떻게 꾸밀지 회의를 벌인다.

 

나는 이 회의에서, 이들이 결코 진실을 중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사실 그대로'라는 기자 정신은 여기에서 언급해봤자 시메이가 보기 좋게 퇴짜를 놓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들은 진실을 말하면서 진실을 숨기는, 너무나도 오랫동안 사용된 비열한 방법으로 신문을 꾸미려 한다.

진지하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일을 원했던 '마이어'는 이런 작태에 실망을 금치 못한다.

 

독자들은 여기서 물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아무리 목적이 따로 있는 신문이라지만, 정말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가?

기사 하나로 누군가를 매장하려는 일을 시메이는 아무렇지도 않게 지시하고, 지시받은 자는 그것을 따른다.

글의 힘을 전혀 모르는 사람이 펜을 잡으면 이런 일이 벌어진다고, 작가는 우리에게 경고하는 듯했다.

글이 어떤 힘을 가졌는지, 펜을 잡은 사람은 어떤 의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 이들은 전혀 고민하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부분을 고민하지 않는다. 기자를 표명하지만 이들은 그럴 자격이 없다.

그리고 우리는 다시 이렇게 물을 수 있다.

그렇다면 그것을 읽는 우리는 어떻게 이것을 읽어야 하는가?

신문과 뉴스를 읽고, 그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눈이 우리에게 있는가?

나는 기자가 아니고, 실제로 기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본 적이 없다. 대부분의 사람이 그럴 것이다. 우리는 '직업윤리 의식'이라는 얄팍하기 짝이 없고 구속력도 없는 그것에 절실히 매달릴 수밖에 없다. 그것을 믿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것을 쥔 자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그것을 저버린다.

 

저자는 매혹적인 플롯을 가지고 우리에게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듯했다.

나는 아직 그 질문에 답하지 못한다. 이것은 내가 나에게 질문했어야 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래서 앞으로 이에 답변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보려 한다.

'가짜뉴스'가 물위로 본격적으로 떠오른 지금, 그들이 윤리의식을 저버렸다면 나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사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기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우리는 대답할 수 있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