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즘으로 읽는 한국 헌정사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69
김욱 지음 / 책세상 / 200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마키아밸리의 모순성은 항간에 떠도는 논의들 속에서 사리지고 만다. 마키아밸리즘은 흔히들 도덕에 신경쓰지 않고 정치적 결과에 주목해야 한다는 악의 권력기술로 개념화되어 있다. 저자는 그런 단순화된 마키아밸리즘의 논의에 아무런 성찰없이 편승해 있다. 마키아밸리즘이라는 방법론적 도구를 빌려 왔다면 최소한의 마키아밸리에 대한 탐구가 필요했을 것이다.

그런데 '로마사 논고'와 '군주론'의 역동적이고 모순적인 차이를 간단히 우회하고 있다. 더구나 꼴통 좌파인 하나인 알튀세을 치장하여 자신의 방법론적 지평의 부실함을 감추려 한다. 저자는 한국적 상황에 서구 이론을 적용하려면 적어도 자신이 이야기하는 사람의 논의에 대해 충실해져야 할 것이다. 인민의 자율성에 주목한 로마사 논고와 군주의 권력에 주목한 마키아밸리의 차이들에 어떻게 모순적으로 역동하는지에 좀더 주목해야만, 생산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더불어 문제는 한반도의 역사적 적용의 문제이다. 부실한 방법론적 지평을 일관성과 복잡성을 고려하지 않는 적용으로 두루 문제를 남기고 있다. 서투른 습작 수준에서 과연 얼마나 벗어난는지 의문이 드는 책이다. 만약 그런 안타까움이 나만의 것이라면 좋겠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 저자는 정치 윤리의 현대적 발전에도 무기력하고, 한국의 역동적인 정치변동과정에 대해서도 엉성하기 그지없다.

저자는 예언자도 그리고 역사가도 되지 못했다. 더구나 이론적으로 탄탄한 무장에 실패하고 있다. 저자는 '무장한 예언자는 모두 승리하지만, 무장하지 않은 예언자는 패배한다‘『군주론(The Prince,1513)』는 군주론의 경구를 성찰해보고자 했다. 저자는 이 문장의 문제와 한계 그리고 가치를 다시 성찰해 보아야 할 것이다. 더딘 이론적 성찰 그리고 섣부른 적용의 위험. 좀더 꼼꼼하고 깊고 너른 성찰을 기대해본다.

2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