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 2 : 막고굴과 실크로드의 관문 - 오아시스 도시의 숙명 ㅣ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이 답사기 한권으로 돈황의 모든것을 이라고 말할정도로 거의 완벽하다. 물론 자세한 이야기는 저자가 참고한 서적을 봐야 하겠지만 종합적으로 정리한 책은 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 2권만으로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1권에서 머나먼 길을 거쳐 돈황으로 온 저자의 답사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너무 짧은 시간과 관람제한 구역을 보지못한 아쉬움이 겨울에 한 번 더 찾을 정도로 열의를 가지고 쓰여진 답사기는 단순한 정보의 나열이 아니라 실제 답사시에 벌어지는 일들과 아쉬움 등이 그대로 담겨져서 현장감이 생생하게 느껴진다. 각각의 석굴안에 들어갈때마다 느끼는 감동과 내부에 대한 설명과 사진은 그 신비로움과 함께 나도 직접 답사가고 싶다는 생각을 들게 만든다.
2권에서는 답사기도 있지만 돈황 석굴의 현재를 볼수 있는 근대의 역사를 잘 정리해 놓은 제2부 부분이 눈여겨 볼만 하다. 다들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한번 쯤 들어본 적 있는 혜초의 왕오천축국전이 돈황에서 발견된 경위와 돈황 석굴을 침탈한 제국주의 시대의 서양의 학자들, 반대로 무능한 정부를 대신해 석굴을 지키니 위해 나선 중국인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단순히 유적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그 유래에 대한 풍부한 설명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의 특징이자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스테디셀러가 된 요인이기도 하다.
제3부에서는 돈황을 넘어 과거 중국의 끝인 실크로드의 관문으로 찾아간다. 저자가 인터넷으로 찾은 그 곳에 볼거 없다는 정보도 같이 보여주지만 저자만의 관점으로 관문들을 찾아간다. 작은 성채만 남아있고 황량한 사막일수도 있지만 그곳은 서유기의 모델로 알려진 현장법사가 인도로 가기 위한 길이다. 현장법사가 인도로 가는 여정을 이야기로 풀어 내면서 그 지역의 자연 환경과 사회 환경을 답사기에 녹여냈다.
시간상으로 보면 짧은 중국 답사기가 2권으로 책으로 나왔지만 다음에 나올 답사기가 더욱 기대가 된다. 아직 중국으로 불교가 들어오는 부분만 다루었고 더 많은 중국의 문화에 유적, 유물을 다루어질것을 기대하면서 다음 답사기를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