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먹는 것이 바로 나 - 사람.자연.사회를 살리는 먹거리 이야기 ㅣ 책세상 루트 15
허남혁 지음, 김종엽 그림 / 책세상 / 2008년 8월
평점 :
요즘 우리사회는 공황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먹거리에 대한 공포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죠. 중국산 멜라민 파동도 그렇고 얼마전까지 미국산 소고기로 인한 광우병 우려도 그렇습니다. 도대체 앞으로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믿고 먹게 할 음식은 없는 것일까요.
이번 책 [내가 먹는 것이 바로 나]는 우리 사회가 진정 먹거리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해보자는 것입니다. 사람과 자연과 사회를 살리는 먹거리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가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먹거리 생산과 소비의 관계망, 세계식량의 수급 현황, 먹거리 생산에 대한 과학기술, 먹거리 소비와 우리 몸의 상관관계등 먹거리에 관한 다양한 측면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알아야 할 것중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자국에서 남아도는 식량이나 먹거리를 다른 나라에 수출하고, 그나라에 부족한 다른 식량이나 먹거리를 수입하는, 소위 비교우위론에 입각한 자유무역의 문제점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언듯 보기에는 맞는 말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먼거리로 먹거리를 이동하게 되면 물류,유통으로 인한 증가비용을 고스란히 소비자가 부담하고 중간이득을 거대 다국적 기업들이 영리를 취득하게 되죠. 어디 그뿐입니까, 장거리 이동으로 인한 화석원료가 소비되어 환경오염의 요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한층 더 나아가 FTA체결로 수입개방 압력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우려할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앞으로 지역간의 먹거리 장터를 열어 교환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또한 한쪽에서는 식량이 남아 엄청난 음식쓰레기가 나오고, 한쪽에서는 기아로 수많은 아이들이 죽어가는 상황에 대해 국가간 협조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이 책 역시 이러한 문제의식과 해결방안이 잘 나와있습니다. 중간중간 보론으로 나와있는 녹색평론에 실려있는 글들도 유익한 정보가 됩니다. 또한 나중에 좀 더 깊이있게 읽을수 있도록 다른 책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어 읽는내내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