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우리말을 담는 그릇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5
남경완 지음, 정성화 그림 / 책읽는곰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우리 아이가 "한글이 있기전에는 사람들은 말을 어떻게 했어요?" 묻길래, "뭐, 지금처럼 말을 했겠지" 하고 얼버무린 적이 있었어요. 그리고 저 역시 곰곰히 생각해봤죠. 지금 우리들이 사용한 언어를 그대로 사용했을까, 궁금했죠. 고려시대에는 아니 신라사람들은 경상도 사투리를 썼을까,  백제사람들은 전라도 방언을 지금처럼 구수하게 썼을까
 
그 시대를 타임머신타고 가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그랬을 것이라고 추정만 할 수 있지 솔직히 잘 모르겠더라고요. 세종대왕이 백성들이 말과 글이 달라 어려움을 겪자, 말 소리를 따라 한글을 창제했다고 하니... 그래도 약간은 차이가 나겠죠. 그렇게 생각만 하고 있어요.
 
[한글, 우리말을 담는 그릇], 예쁜 그림과 설명으로 우리 아이는 정말 재미있게 읽더군요. 저 역시 역사 사극을 좋아한지라, 요즘 사극 <대왕 세종>에서 집 노비가 읽지 못한 문서에 손도장을 찍고, 주인을 죽였다고 억울한 누명을 쓰는 장면이 나옵니다. 아마도 일반 백성들은 글을 몰라 이모저모 피해를 입었나 봅니다.
 
세종이 한글을 만드는 과정도 세종이 면밀히 주도한 것은 사실이지만, 집현전 학자들과 같이 만들었다는 게 정설인가 봅니다. 책에는 초등학교 1~2학년 수준으로 간략한 설명이 나오지만, 핵심적인 사항은 놓치지 않고 있어요. 한글 창제과정, 사용하는 사람들, 특히 궁궐과 양반 여인들이 쓰기 시작했다는 점. 또한 한글이 있음으로 해서 그동안 축적되어 있던 지식을 후대에 전달할 수 있는 점은 높이 살 만 합니다.
 
한글의 수난과정이나 지금의 우리 말과 글이 온전히 이어올 수 있게 된 것도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음을 알려줄 수 있고, 우리 글의 소중함을 깨우쳐 줄 수 있어, 아이들이 읽어볼 만한 책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어른들을 위한 약간의 내용이 있지만 부족하기 때문에, 최준식교수가 쓴 [한국의 문기-소나무]라는 책을 추천해 봅니다. 정말 우리 글과 문화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고, 상식적으로 도움받을 내용이 많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