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史를 넘어 - 붓에 살고 붓에 죽은 서예가들의 이야기
김종헌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예에 대한 동경만 가지고 있던 나에게 '추사를 넘어'라는 한권의 책은 무한한 가슴 벅찬 감동을 안겨주었다. 저자인 김종헌씨가 책속에 담아놓았던 수많은 글과 그림은 내 눈에 행복함을 선사해 주었고, 집안에 걸려있는 글과 그림을 막연히 좋다는 생각에서 이제는 조금이나마 이해의 폭을 넓일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우리 고장 전주에는 새해에 되면 한옥마을 단지내에서 가훈이나 새해 소망을 한지에 붓글씨를 써주는 행사가 있다. 작년에 이곳에서 붓글씨 한점을 받았는데, 아직 표구하지는 못한채 보관하고 있었는데, 이번 책을 읽고 다시 꺼내 감상하는 기회를 가졌다. '非有而非無'라는 글인데, 원효대사가 사람 마음속에 일어나는 번뇌와 장애는 본디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며, 지금 눈앞에 번뇌를 없다고 할 수 없지만 이런 번뇌가 항상 계속되지는 않으므로 마음의 중심을 잡고 번뇌 그 자체에 마음을 두지 말고, 주어진 문제에 적극적인 실천의지를 가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평소에이 글를 너무 좋아한지라 고향의 명필로부터 받았으니 그 기쁨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 처음에 막상 받고보니 '非'가 서로 뚜렷하게 차이가 있어 서예의 문외한으로서 궁금증도 있었는데, 이번 책을 통해 새로운 시각을 얻게 되었으니,  다른 분들도 사진을 올릴테니 한번 감상 해보세요.....












 

누구나 서예를 잘 하는 분을 보면 부럽고 동경의 대상이 되기 마련이다. 그만큼  우리 민족에게는 서예의 맥이 흐르고 있는지고 모른다. 하지만 붓글씨를 써보겠다고 먹과 벼루를 준비해 놓고도 아직도 마음만 있고 실천하지 못한 내 자신을 질타해 본다. 검여 유희강 선생님은 뇌출혈로 오른쪽 반신불구임에도 왼손으로 다시 붓을 잡고 수차례의 전시회를 가졌다는 이야기는  우리에게 서예의 정신을 일깨워준다. 안중근 의사의 힘찬 필체와 손도장, 그리고 손재형, 강창원, 정하건선생의 이야기와 글씨도 서예에 대한 마음가짐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생각하게 한다.

 

또한  이 책에는 중간중간 중국의 서체와  그 발달사가 나와있고, 서예에 관한 용어도 실려 있다. 서예의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를 비롯하여 중국의 유명한 서예가도 소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전통의 틀을 깬 최초의 민중작가인  판교 정섭을 조명하고 있는데, 저자가 판교 작품을 구입하기 위해 여러번 화랑을 찾아 성사시켰다는 에피소드도 나온다. 그리고 추사 자신도 자기글에 쏟아지는 미신에 가까울 정도의 흠모를 혐오했다며, 우리사회가  추사 김정희만  얽매이고 그 글씨만 써대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한다. 다만 개인적으로 신영복선생님의 한글서체도 몹시 좋아하는데, 책 내용중 한글서체에 대한 글을 많이 다루고 있지 않아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마지막으로 얼마전에 지인으로부터 선물받은 부채다. 정년퇴직하시고 요즘 한창 붓글씨와 서화에 푹 빠져 계신는데, 본인이 직접 그렸다며 보내주셨다.  전주 부채에 난을 그리고 위에 글을 썼는데 멋스러움이 엿보입니다. 그 분의 마음과 정성의 보답으로 이번 '추사를 넘어'를 선물하고 싶은 마음이 든다. 더불어 앞으로 서예에 관한 좋은 글과 그림을 계속 선보여 주었으면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