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곱게 늙은 절집 - 근심 풀고 마음 놓는 호젓한 산사
심인보 글 사진 / 지안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제가 가지고 있는 절에 관한 책은
누렇게 닳아빠진 <금강경>과 <반야심경>독경본 뿐입니다.
이번에 읽게 되었던 [곱게 늙은 절집]은 앞으로 제옆을
지켜주며 삶의 좋은 반려자가 될 것 같네요.
울쩍했던 마음도 천불상 사진을 보면 마음이 편해지고
나이먹는 서러움도 몇백년 노송앞에서 겸허해집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 세월을 먹고 사는 절집들을 보면서
인간들의 삶을 호되게 꾸짖음도 들을 수가 있었구요.
사람도 저렇게 자연스럽게 곱게 늙어갈 수는 없을까?
진지한 고민도 해 봅니다.
풍수의 원조인 도선국사가 찾아낸 땅들은 발복할 수 있는
좋은 땅이 아니라, 모두 병든 땅이었다고 합니다.
그 곳에 절을 지어 액을 막고, 지기를 복돋아 주었죠.
도선국사가 잡았다는 터를 보면 두려움없이 세상을 살고
사랑으로 세상을 품었던 보살의 섬세하고 따뜻한 손길이었고,
그렇게 천년의 세월을 흘러,천년고찰이 된 것입니다.
책을 읽을때면 마음 가는데로, 보고 싶은 절을 아무데나 읽어요.
막힘없이 펼쳐지는 데로 읽어나가는 재미도 솔솔합니다.
이 책의 강점이라면, 저자의 사찰에 대한 설명이 독자의 눈높이에
맞춰 편안하게 설명해 준다는 점이죠.어려운 용어도 쓰지않고
건축용어도 쉽게 풀이해주면서도, 그에 얽매이지 않고 저자역시
보고 느껴지는 데로, 가감없이 그대로 전해 줍니다.
날씨가 갈수록 좋아져 자꾸 세상밖으로 나오라고 유혹하는데,
몸은 성한 곳이 없어 마음뿐인 저로서는 . 집앞의 동백꽃을 보며
고창 선운사의 동백숲을 연상하고,굴러나니는 못난 돌덩이를 보고
운주사의 와불과 석탑들을 마음속에 담아봅니다.
책에 나와있는 절에 관한 저자의 구수한 입담을 통해 듣노라면
절에 담긴 설화속의 이야기가 어는덧 제 눈앞에 펼쳐지는 것
같고, 그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입에 회자되면서 그렇게
절과 함께 세월의 풍파를 껶어왔나 봅니다.
사는게 별거 있나요? 절에 계시는 노스님들은 반문하지만,
항상 입가에 머문 너그러움은 우리를 언제나 포근하게 해줍니다.
절을 찾아가지만,
생각해보면 절 가까이에 있는 아름다운 자연을 찾고
절을 찾아가지만,
반갑게 맞이하는 스님과 신도들의 마음을 찾아 갑니다.
아마도 그렇게 자연과 그속에 절과 스님이 하나가 되는가 봅니다.
심인보씨의 이번 책은 저자의 세심한 배려가 돋보입니다.
책표지 디자인과 책속의 사진들 하나하나에 정성이 역력합니다.
기존의 책표지들과 다르게 한지로 되어있어 좋지만,
책을 읽을때마다 손의 땀으로 구김이 갈까봐
오래 간직하고자 투명비닐로 포장했습니다.
이 책에도 옥에 티로 오자가 보이는데
'부안 내소사'는 전라남도가 아니고, "전라북도"에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