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침대에서 내 다리를 주웠다 - 신경과의사 올리버 색스의 병상 일기
올리버 색스 지음, 한창호 옮김 / 소소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올리버색스 저자자신이 말한대로 이 책은 단순히 다리를 다친 이야기에 머무르지 않고,
의사가 아닌 환자의 입장에서 겪었던 치료과정(의사와 간호사의 무성의)과
내면의 의식과정(소외감)을 경험담으로 엮고 있다.
한치 앞을 내다보지 못한 인간들에게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질병으로 인한 불행은
방송매체나 드라마속에서나 나올법한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설마 나만은 피해가겠지
했는데도, 눈앞에 현실이 되었을때, 자신만이 아니라 가족모두가 고통을 수반한다.
올리버색스 자신도 환자의 입장에서 냉철할 수 없었던 상황 전개는 한번쯤 병원신세를 진 사람이라면 공감하는 부분이다. 의사나 간호사는 직업적으로 환자를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대하지는 모르지만, 환자나 그 가족은 불만투성이 되어 언성이 높아지는
경우가 더러 있다.그러나,환자는 그 상황에서는 수동적인 약자일 수 밖에 없다.
특히 신경외과 의사인 저자는 자신의 전문적인 식견에 비추어, 사고로 인해 다리의 대퇴신경이 끊어짐으로서 나타나는 감지무능력 현상(안톤 증후군)에 대한 고찰은 이책 전반적논의의 중심이 된다. 평상시에는 감추어져 있고 무의식적으로 당연시 되다가, 큰 고장이나 파괴되면 드러내는 의식의 불감증을 어떻게 이해하는가를 여러 각도로 살펴보고 있다.
또 한가지는 병실의 좁은 공간에서 재활원으로 올겨지면서, 경험했던 시야의 축소현상
(죄수증후군)은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빠르게 일어날 수 있음을 지적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흥분되게 재미있게 읽은 부분은 병상에 누워있다가, 첫발을 내딛는
장면인데,정상인도 그냥 누워서 3일만 지나면 다리 근육과 신경이 급속히 퇴화되는데,
다리 신경을 다쳤거나, 뇌손상이 있다면, 첫발을 내딛기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재활단계에서는 어린아이처럼 기어다니기부터 걸음마를 배운다. 어느순간 서서 걸을 수 있다는 것은 환자나 그 가족에게는 흥분과 감동을 주는 클라이막스인 것이다.
그 다음단계는 자연스럽게 행동하도록 뇌에서 감을 잡는 것이 중요한데, 책속에서는
자신에게 즐겁고 기쁜 일을 하도록 하는''스코투스''방법을 소개한다.
사실 무엇가에 대한 문제해결은 그것을 실행해 보는 것만큼 좋은 것은 없다.
저자역시 이점을 강조하고 있고, 내면의 두려움을 깨치는 것은 부딪혀 보는 것 밖에 없다.
그 다음은 소우주인 우리 몸과 마음이 알아서 다 해나간다.
이번 도서를 읽으면서 예전의 힘들었던 병원생활의 기억을 되돌아 보며,
지금 이 순간의 삶과 행복에 감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