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우리 작가 그림책 (다림)
김춘수 지음, 신소담 그림 / 다림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례표지.jpg

차   례


김춘추 시

신소담 그림

차례뒤5.jpg

대문 너머로 보이는 풍경은 시골의 정취와 가을의 넉넉함이 마당가득 느껴지는 책이다

어려서부터 도시에서 살았던 나로서는 이런 풍경은 아주 어렸을때 작은 할아버지 집을 가봤을때 본 기억 외에는 없는 것 같았다

하지만 경험을 했든 하지 않았던지 정감을 느끼게 하는 한장의 그림임에는 틀림이 없는것 같다


처음 제목을 보았을땐 차례에 대한 이야기인가보다 하고 펼쳤는데

이 책은 내가 개인적으로 너무 좋아하는 김춘수 시인의 시에 맞춰 추석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책이었다


추석입니다로 시작합니다

추석이 되니 타 지에 있는 가족들이 모입니다

할머니를 그리워 하며 할머니와의 추억을 차례상을 준비하는 가족들의 손길에서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할머니가 송편을 주셨던 기억도 떠오르고

할머니가 좋아하셨던 용수골 수박을 올려드리기도 하고

그렇게 달과 함께 할머니를 기억하는 가족들...

차례를 지내는건 어쩌면 좋았던 기억을 하나씩 꺼내보는 의식과 같은게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보 았다


차례를 지내지 않는 우리집

그래서 결혼을 해서 문을 열어놓고 밥에 숟가락을 얹어놨던 풍경들은 영 낯설었던

차롓상이었는데

이 책을 통해서 보니 그렇게 낯설지만은 않은...

좋아하시던 음식 추억..

그래서 그 모든 시간들을 기리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리 조상들은 그렇게 추석에 큰 의미를 두고 있었던것 같았다

어쩜 시댁의 차례상이 낯설었던것은 나는 나눌 추억이 없어서 그래서 뭔가 다른 어색함이 있지 않았나란 생각을 해보았다 



ckfPenl3.jpg



추석엔 이웃과 정을 나누는 것

차례뒤4.jpg

도시에서는 박물관에나 가야 볼 수 있는 풍물놀이도

차례뒤2.jpg

집에 돌아갈땐 엄마의 정성이 가득한 여러음식과 곡식과 거기에 더한

엄마의 사랑까지 가득담아 가는 모습은 어디나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이 모습은 오십년 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는 것이다


친할아버지 할머니가 안계셔서 우리집 아이들은 추억을 나눌수 없지만

거기에 코로나로 지금은 멀리 있는 친척들을 볼수도 없었는데

그래서 이렇게 그림책으로나마 차례에 대해 생각해보고

추석의 의미를 더욱 깊이 있게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어요


그래서 지금 곁에 계신 부모님이 한편으론 더욱 귀하고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겠다는 생각도 해보게 되었다

나중에 우리 아이들이 할아버지 할머니를 기억할 일들을 많이 만들어줘야 하지 않을까 하는...

그래서 형식적인 차례가 아니라 마음으로의 차례를 아이들이 느낄 수 있기를 바래보게 되었다.

시도 그렇지만 일단 그림도 한장한장 너무 정감있는 그림들이어서

추석을 앞둔 지금 보는것만으로도 마음의 풍요로워지는 그런 책이었습니다

차례뒷편.jpg

이 책은 허니에듀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공급받아 개인적인 견해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