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 - 검찰 부패를 국민에게 고발하다
이연주 지음, 김미옥 해설 / 포르체 / 2020년 11월
평점 :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는 인천지방검찰청 검사로 일하다가 변호사로 이직한 '이연주'님의 저서다. 검사로 재직할 당시 검찰이 얼마나 불합리하고 폐쇄적인 조직인지 알게 된 저자는 극심한 무기력과 우울감에 시달리다가 결국 검찰을 떠난다. 저자는 분명 검찰을 떠났지만 검찰이란 조직은 끊임없이 저자의 무력했던 기억을 상기시킨다.
2018년. SNS에 검찰조직을 고발하는 글이 업로드 되어 화제가 되었다. 저자가 책 이름과 같은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라는 문장을 시작으로 쓴 글이다. '죄의 무게를 다는 그들의 저울은 고장났다' 당시 저자가 표현한 검찰 조직이다.
저는 무죄를 무죄라고 했다가 얼치기 운동권 검사, 막무가내 검사’, ‘부끄러운 검사’라는 온갖 화살을 맞은 고슴도치가 되어버린 그 사람의 화살을 하나라도 빼주어야겠어요. 제가 외면했던 그 모든 문제를 온몸으로 부딪히며 피를 뿌리며 걸어간 그 사람이 조금이라도 덜 아프도록. 마음의 소리를 외면하지 않고 바로 보게 해준 그 사람을 위해 저는 거기에 가려 합니다.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 (p.357)
- 2019년 9월 검찰 개혁 촛불 집회 당시
저자의 집회 참여를 말리는 시어머니께 쓴 저자의 편지-
요즘 같은 전염병 시국에도 헤드라인 기사에는 검찰 이야기가 절대 빠지지 않는다. 검찰 조직의 인사 안은 한 달여 기간 동안 스무번이 넘도록 바뀐다. 소위 '빽'이 되는 힘센 사람들이 서로 자기 라인 검사들을 요직에 넣으려고 겨루다 보니 인사안이 끊임없이 뒤집어지는 것이다. 그들의 세계는 각자의 이기심과 욕망이 한데 얽혀 꿈틀거리는 괴물과도 같다. 서로 꽉 묶여있어 몸 성히 빠져나올 수도 없다.
책 표지에 쓰여있는 '검찰 부패를 국민에게 고발하다' 라는 말에 충실하게도 저자의 문체는 매우 간결하다. 마치 보고서를 읽고 있는 듯 쉽게 이해되는 정보 전달형 문체이지만 그 내용은 하나같이 충격적인 것들이다. 넥슨 게이트, 그랜져 검사 등 익히 들어 알고 있는 검찰 부패 사건은 이 책에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읽다 보면 몇몇 검사들의 뻔뻔한 행태에 냉소가 지어지기도 하지만 저서의 내용이 모두 진실이기에 웃을 수 없다.
민주주의는 자전거와 같다. 페달을 밟지 않으면 쓰러지고 만다. 페달을 계속 굴려야만 아름다운 꽃밭도, 너른 바다도 만날 수 있다. 그래서 내 글을 읽는 이들에게 간절히 부탁한다. 계속 서로의 빛이 되어달라고, 페달을 굴리는 동력이 되어달라고.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 (p.38)
용기내어 검찰의 비리와 부정을 고발했지만 사회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여전히 저자는 형사 사건을 맡지 못하는 민사 전문 변호사이고 공수처는 설립되지 않았으며 각각의 검찰을 서포트 하는 스폰서 세력도 건재하다. 그럼에도 저자는 말한다. 쓰러지지 말고 계속해서 페달을 밟아 달라고. 사회를 바꾸는 노력을 멈추지 말아달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