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역사를 담은 토기 숨은 역사 찾기 4
고진숙 지음, 최서영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토기라…. 역사와 관련지어 토기를 떠올리면 선사시대의 토기를 국사시간에 순서대로 외운 기억밖에 없다. 도자기는 미술시간에도 중요하게 다루고 시대별 순서나 작업과정을 배웠기 때문에 토기에 비해 더 중요하고 훌륭한 문화재로만 생각되었다. 박물관에 가서도 어둡고 수수한 토기는 그냥 휙 지나갔다.

그렇게 소홀히 여긴 토기에 이렇게 많은 이야기와 삶이 담겨 있다니…. 생각해보면 하루에도 몇 번 그릇을 만지면서도 왜 토기에 대해 궁금해 한 적이 한 번도 없었는지 이상하기까지 하다. 어디 일상에서 무심코 지나는 것들이 한둘이랴만…. 끊임없이 ‘왜?’ 라고 묻는 아이들처럼 궁금증과 호기심을 연구하고 또 연구하여 시대의 염원과 의지를 담아낸 장인과 이름 남기지 않은 사람들 그리고 이러한 책을 손에 안겨준 작가에게 박수를 보낸다.

토기에 관한 책이지만 토기에 국한되지 않고 관련과학, 사진설명, 지명이나 사람이름, 음식이야기 등 많은 사실들을 구석기 시대에서 조선에 이르기까지 흥망성쇠를 따라가며 들려주는데, 전체적인 맥락이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다. 간결하면서도 힘있고 명쾌한 해설, 구체적인 설명도 눈길을 끈다. 한 줌의 곡식을 그냥 씹어 먹는다면 한 사람이 먹어도 배부르지 않을텐데 조리용 토기가 많은 사람이 나눠먹을 수 있게 해줬다는 구절에선 그 시대엔 이것이 얼마나 획기적인 발명인가 실감할 수 있었다. 귀족의식에 청동기 빛을 내기위해 애쓰고 특이한 모양과 무늬를 만들어 자신의 신분을 나타내려 한 것들도 새로이 알게 되었다. 사진으로만 보고 모양이 특이해 기억에 남아있던 바퀴달린잔에는 안전한 장삿길에 대한 염원이 담겨있고,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시루도 역사에선 한 몫을 했다니…. 읽는 내내 생활속에 깃든 역사 이야기라서 더더욱 감동적이다.

토기에 맞게 그림도 황토색을 주로 사용하였다. 토기 사진들과 어울리는 수수한 풍속화를 보는 듯한 그림이었으면, 세밀한 그림이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 이 책 아이들과 읽고 공방에서 흙도 주물럭 거리고, 박물관에도 가봐야 겠다. 언젠가 경복궁그림책 들고 경복궁에 기차여행 간 것처럼 이번에도 이야기 풍성한 나들이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